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1 12:49
본문
Download :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hwp
여기에서 하나님은 인간의 상대자로서 하나님이요, 언약을 수행하시는 하나님이시다. 바르트는 그가 처한 종교적 정치적 상황을 떠나서는 하나님…(생략(省略))





순서
다. 바르트는 18C 합리주의 , 슐라이어 마허 , 그리고 불트만의 비신화화 에 이르는 모든 신학들을 십계명 제 3계명의 정신에 위배되는 신학으로 규정했고 19세기 文化(culture) 개신교는 신앙고백의 제 3 조항 즉 성령의 조항을 소홀히 한 것으로 비판했다. 바르트는 슐라이어 마허를 신학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영웅이라고 말하지만 그를 추종하지는 않았다. 이와같이 하나님은 인간 안에서 인간과 더불어 인간을 통하여 역사(歷史)하시는 인간의 하나님,즉 대화의 하나님이다.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hwp( 36 )
B. ‘ 하나님의 인간성 ’ 과 대화의 신학 “ 하나님 말씀의 인간성 ” 이라는 강연에서 바르트는 신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성에... ,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 하나님 말씀의 인간성 ” 이라는 강연에서 바르트는 신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성에...
레포트/인문사회
B. ‘ 하나님의 인간성 ’ 과 대화의 신학
설명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
B. ‘ 하나님의 인간성 ’ 과 대화의 신학
“ 하나님 말씀의 인간성 ” 이라는 강연에서 바르트는 신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성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것이어야 하며 그의 신성은 인간성으로 둘러 싸여 있다고 했다. 하나님의 인간성 강조는 그의 교의학 ‘화해론’에서 ‘그리스도의 모방’ 과 ‘제자직에로의 부름’ 등의 윤리 속에서 더욱 구체화 되어 종교 개혁자들의 오직 신앙으로 , 오직 은총만의 전통을 이으면서 보다 구체적인 현실적인 삶에 적용한다는 점에서 종교개혁자들을 넘어선다. 바르트는 생의 후반부에서 성령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文化(culture) 에 대상으로하여 긍정에 긍정을 더하는 긍정적 신학을 말했다. ”라고 까지 말한다. 이제 바르트는 하나님의 인간됨 속에서 “하나님은 인간이다.그래서 그는 말년 에 교회 교의학 제4권 1200 페이지의 분량을 “성령론적으로 ” 기술했다. 이제 바르트는 “ 로마서 주석 ”에서 처럼 ‘하나님 자체 ’나 인간과 질적으로 다른 ‘ 절대 타자‘로서 하나님을 말하지도 않고 예수 그리스도 만을 말하는 ‘계시 실증주의자’로 오해 받지도 않는다.
1968 년 슐라이어 마허 탄생 200 주년을 기념하는 ‘슐라이어 마허 선집’ 뒷자리 말의 형식 속 에서 19세기 신학의 아쉬운 점을 지적하면서 슐라이어 마허가 성령의 신학에 가능성을 두지 않 았음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