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09 00:37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hwp
감각 수용기는 외부수용기(촉각, 시각, 청각, 통각)와 내부 수용기(내장감수기, 고유수용기)가 있다아 감각수용기 중에서도 근육과 건, 그리고 관절에 있는 특별한 감각 기관을 고유수용기(proprioceptor)라고 한다. 두 수용기로부터의 신호들은 거의 전적으로 내적 근 조절에 관여하며, 거의 잠재적인 수준에서 작용한다. 고유 수용기에는 근방추(muscle spindle),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그리고 관절수용기(joint receptor)가 있다아 근방추와 골지건기관은 일종의 신장수용기(stretch receptor)로서 지각보다는 근육의 운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아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근 기능의 적합한 조절은 전 운동 뉴런에 의한 근의 흥분뿐만 아니라 각 근으로부터 척수로 각 근의 순간적인 상황을 전달하는 감각정보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요구된다 즉, 근의 길이는 어떻고 순간적인 장력은 어떻고, 또한 얼마나 빠르게 길이와 장력이 變化(변화)하는가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과 건은 두 가지 종류의 특수한 감각 수용기들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아 근방추는 근의 중앙부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근의 길이나 길이變化(변화)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신경계로 보내고, 골지건기관은 근의 건에 위치하고 건 장력과 장력 變化(변화)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고유 수용기의 기능은 관절 운동의 상태, 근수축의 스피드, 사지의 위치, 근력, 근 이완 정도, 근신전의 스피드 등의 근육, 인대, 건, 관절에서 오는 여러 가지 감각 정보를 중추신경(뇌와 척수)에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의학,약학][해부생리학],근감각수용기,-,근방추[Muscle,Spindle]와,골지건기관[Golgi,Tendon,Organ],의약보건,레포트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의약보건레포트 , [의학 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Download : [의학,약학][해부생리학] 근감각수용기 - 근방추[Muscle Spindle]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hwp( 82 )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감각수용기%20-%20근방추[Muscle%20Spindle]와%20골지건기관[Golgi%20Tendon%20Organ]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A%B0%90%EA%B0%81%EC%88%98%EC%9A%A9%EA%B8%B0%20-%20%EA%B7%BC%EB%B0%A9%EC%B6%94%5BMuscle%20Spindle%5D%EC%99%80%20%EA%B3%A8%EC%A7%80%EA%B1%B4%EA%B8%B0%EA%B4%80%5BGolgi%20Tendon%20Organ%5D_hwp_01.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감각수용기%20-%20근방추[Muscle%20Spindle]와%20골지건기관[Golgi%20Tendon%20Organ]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A%B0%90%EA%B0%81%EC%88%98%EC%9A%A9%EA%B8%B0%20-%20%EA%B7%BC%EB%B0%A9%EC%B6%94%5BMuscle%20Spindle%5D%EC%99%80%20%EA%B3%A8%EC%A7%80%EA%B1%B4%EA%B8%B0%EA%B4%80%5BGolgi%20Tendon%20Organ%5D_hwp_02.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감각수용기%20-%20근방추[Muscle%20Spindle]와%20골지건기관[Golgi%20Tendon%20Organ]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A%B0%90%EA%B0%81%EC%88%98%EC%9A%A9%EA%B8%B0%20-%20%EA%B7%BC%EB%B0%A9%EC%B6%94%5BMuscle%20Spindle%5D%EC%99%80%20%EA%B3%A8%EC%A7%80%EA%B1%B4%EA%B8%B0%EA%B4%80%5BGolgi%20Tendon%20Organ%5D_hwp_03.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감각수용기%20-%20근방추[Muscle%20Spindle]와%20골지건기관[Golgi%20Tendon%20Organ]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A%B0%90%EA%B0%81%EC%88%98%EC%9A%A9%EA%B8%B0%20-%20%EA%B7%BC%EB%B0%A9%EC%B6%94%5BMuscle%20Spindle%5D%EC%99%80%20%EA%B3%A8%EC%A7%80%EA%B1%B4%EA%B8%B0%EA%B4%80%5BGolgi%20Tendon%20Organ%5D_hwp_04.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감각수용기%20-%20근방추[Muscle%20Spindle]와%20골지건기관[Golgi%20Tendon%20Organ]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A%B0%90%EA%B0%81%EC%88%98%EC%9A%A9%EA%B8%B0%20-%20%EA%B7%BC%EB%B0%A9%EC%B6%94%5BMuscle%20Spindle%5D%EC%99%80%20%EA%B3%A8%EC%A7%80%EA%B1%B4%EA%B8%B0%EA%B4%80%5BGolgi%20Tendon%20Organ%5D_hwp_05.gif)
![[의학,약학][해부생리학]%20근감각수용기%20-%20근방추[Muscle%20Spindle]와%20골지건기관[Golgi%20Tendon%20Organ]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A%B7%BC%EA%B0%90%EA%B0%81%EC%88%98%EC%9A%A9%EA%B8%B0%20-%20%EA%B7%BC%EB%B0%A9%EC%B6%94%5BMuscle%20Spindle%5D%EC%99%80%20%EA%B3%A8%EC%A7%80%EA%B1%B4%EA%B8%B0%EA%B4%80%5BGolgi%20Tendon%20Organ%5D_hwp_06.gif)
순서
인체가 내-외적인 자극을 받아들여 그에 따른 적절한 reaction response을 하게 되는 일반적 경로는 감각 수용기(자극감수기) - 구심성 신경 - 중추 신경(뇌, 척수) - 원심성 신경 - efficacy기(심장, 내장, 골격근)이다. 그렇지만 이들 수용기는 척수뿐만 아니라 소뇌, 심지어는 대뇌피질까지 수많은 정보를 제공…(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