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재상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05:20본문
Download :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hwp
아동복지의 concept(개념)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定義(정의)를 내리고 있따 먼저 카두신은 아동복지를 광의적, 협의적 concept(개념)으로 나누어 定義(정의)하고 있는데 이를 종합하면 아동복지는 부모들이 감당하지 못하는 양육의 기능을 지지, 보완, 대리하며 또한 기존의 사회제도를 개혁하거나 새로운 제도를 창출함으로써 아동과 그 가족의 상황을 改善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따 프리들랜더(Fridlander, 1961)는 ‘아동복지는 단지 빈곤․방치․유기․질병․결함 등을 지닌 아동 혹은 環境에 adaptation(적응) 하지 못하는 비행아동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아동이 신체적, 지적, 정서적 발달에 있어서 안전하고 행복 할 수 있도록 위험에서 지키며 보호하기 위하여 공․사의 제 기관에서 실시하는 사회적․경제적․보건적인 제 활동들이다. 이제 우리사회는 아동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더욱 강조되어 아동복지서비스에 대한 질적 수준이 보장되는 법적, 사회적 개입의 必要性과 그에 대한 국민들의 욕구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한국 아동복지는 한국동란으로 인해 발생한 수많은 전쟁고아들을 수용보호 해야했던 사회環境 때문에 시설보호를 최선의 아동복지로 선택하였고 이것이 한국 아동복지사업의 전형으로 여겨져 왔다.’라고 하여 아동복지의 대상을 명확히 제사하였다.
Ⅲ. 結論(결론)
5. 아동복지의 현재상황
Ⅰ. 서론
Download :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hwp( 65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아동복지의 대상
1959년 UN에서 아동권리 선언문이 채택된 이래 우리나라는 UN아동권리협약을 실천해야하는 협약 당사국이 되었고 1994년에는 아동권리에 관한 국가보고서를 UN에 제출하였다.
♧ reference
순서
2. 아동복지의 제원칙
설명
아동복지란 아동과 복지의 복합concept(개념)으로서 아동들이 보다 평안히 잘 지낼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의미한다. 아직도 많은 아동들이 가정이 아닌 시설에서 집단 보호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아동들이 가능한 가정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정부와 민간기관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믿고 따라서 요보호아동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가정위탁보호사업과 그룹 홈제도의 강화가 절실하다 할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제수준의 아동복지를 시행해야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problem(문제점)과 앞으로 아동복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재상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향
1. 아동복지의 개념(槪念)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복지의 개념 2. 아동복지의 제원칙 3. 아동복지의 기능 4. 아동복지의 대상 5. 아동복지의 현황 6. 아동복지의 문제점 7. 아동복지의 발전방향 Ⅲ. 결론 ♧ 참고문헌
1. 아동복지의 concept(개념)
Ⅱ. 본론
Ⅱ. 본론
아동복지론,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황,아동복지발전방향
6. 아동복지의 문제점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5604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95%84%EB%8F%99%EB%B3%B5%EC%A7%80%EB%A1%A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5%84%EB%8F%99%EB%B3%B5%EC%A7%80%EC%9D%98%20%ED%98%84-5604_01_.jpg)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5604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95%84%EB%8F%99%EB%B3%B5%EC%A7%80%EB%A1%A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5%84%EB%8F%99%EB%B3%B5%EC%A7%80%EC%9D%98%20%ED%98%84-5604_02_.jpg)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5604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95%84%EB%8F%99%EB%B3%B5%EC%A7%80%EB%A1%A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5%84%EB%8F%99%EB%B3%B5%EC%A7%80%EC%9D%98%20%ED%98%84-5604_03_.jpg)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5604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95%84%EB%8F%99%EB%B3%B5%EC%A7%80%EB%A1%A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5%84%EB%8F%99%EB%B3%B5%EC%A7%80%EC%9D%98%20%ED%98%84-5604_04_.jpg)
![[아동복지론]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현-5604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6/%5B%EC%95%84%EB%8F%99%EB%B3%B5%EC%A7%80%EB%A1%A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5%84%EB%8F%99%EB%B3%B5%EC%A7%80%EC%9D%98%20%ED%98%84-5604_05_.jpg)
7. 아동복지의 발전방향
3. 아동복지의 기능
다. 그리고 한국동란이 일어난지 50년이 다 가는 시기에도 많은 아동이 시설에서 보호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