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9 14:51
본문
Download :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hwp
,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경영경제레포트 ,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
인도가 가지고 있는 시장으로서의 잠재성은 크지만 이러한 잠재성이 실현되기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진출전 희망분야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주도면밀한 준비가 요망됨.
가. 투자진출 제한 및 사업승인 소요기간의 장기화
o 1991년부터 스타트된 개방화 정책에 따라 대부분 산업이 해외투자가에 개방되어 있으나, 일부 산업(일반주택건설 및 부동산업, 국방 및 전술산업, 농업 및 사행산업)에 대하여는 투자가 허용되지 않음.
o 인도政府가 외국인 투자유치의 확대를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자동승인제도의 경우에도 실제로는 몇 달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많음. 관련법령 및 행정체계의 미비 등으로 신청 후 사업스타트까지 많은 시일이 소요된다는 것이 실제투자가들의 토로임.
나. 각종 인허가 등 행정절차 장기간 소요
o 각종 인?허가(E.P.C.G. 허가, 수출용 부품 수입허가, 시험용 차량 수입허가 등)취득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부품수입허가를 얻기 어려우며, 수속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등 원활한 생산 및 영업활동을 저해하는 事例가 발생하고 있음.
다.
다. 고용문제
o 인도에 진출한 외국인 기업은 엄격한 노동조합 보호법에 의거 기업활동에 대한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음. 특히, 사업 퇴출정책(exit policy)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인도에 투자한 종업원 100명 이상의 외국인 업체가 철수하고자 할 때 중앙政府나 주政府의 허가는 물론 노동조합과의 사전합의를 거치도록 하고 있음. 이러한 관행은 대인도 투자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이밖에도 해고와 관련 조건이 까다로움에 유의해야 함.
라. 부동산 취득 및 사용제한
o 1990년대 중반 개정된 외환규제법(Foreign Exchange Regulation Act: FERA)상 외국인과 외국기업 공히 부동산 매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 그러나 사회주의 정책의 effect으로 산업이 발달한 공단지역이나 대도시의 대부분은 인도政府 소유로 되어 있어 인도인…(투비컨티뉴드 )
경영,인도,투자시,고려사항,경영경제,레포트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
설명
![[경영]%20인도%20투자시%20고려사항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5D%20%EC%9D%B8%EB%8F%84%20%ED%88%AC%EC%9E%90%EC%8B%9C%20%EA%B3%A0%EB%A0%A4%EC%82%AC%ED%95%AD_hwp_01.gif)
![[경영]%20인도%20투자시%20고려사항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98%81%5D%20%EC%9D%B8%EB%8F%84%20%ED%88%AC%EC%9E%90%EC%8B%9C%20%EA%B3%A0%EB%A0%A4%EC%82%AC%ED%95%AD_hwp_02.gif)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hwp( 90 )
순서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
[경영] 인도 투자시 고려사항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