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23 05:23
본문
Download : 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hwp
II. 기업 아이덴티티 및 심벌마크에 대한 기존의 연구
기업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심벌마크는 고객에게 기업의 이념이나 성격을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Oli
기업이미지,디자인적접근,경영경제,레포트
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
_hwp_01_.gif)
_hwp_02_.gif)
_hwp_03_.gif)
_hwp_04_.gif)
_hwp_05_.gif)
_hwp_06_.gif)
Download : 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hwp( 76 )
다. 이 연구의 구성은 2장에서 기업이미지 및 심벌마크에 대한 디자인학 및 경영학계의 기존연구를 간략히 살펴보고 3장에서는 자료(data)수집과정에 대해 약술한 후 4장에서는 자료(data)analysis결과를 introduce하고자 한다. 오늘날에는 일관성 있는 좋은 이미지를 가진 제품만이 경쟁에서 생존 및 성장할 수 있게 되었고 기업은 상품을 팔기 전에 기업의 이미지를 팔게 되었다 (Dollinger and Golden, 1997; Fombrun, 1995; Fombrun and Shanley, 1990; Gray, 1986). 이에 따라 discrimination화를 위해 심…(To be continued ) 벌마크의 미적인 표현에 더욱 초점을 맞추게 되고 나아가서는 기업차원에서 기업의 성격과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기업의 로고 혹은 심벌마크는 타기업과 스스로를 discrimination화시키는 주요한 자원이 되었다 (Olin, 1988; Schultz and Hatch, 1997). 기업의 이미지 보다 좁게는 기업의 심벌마크는 전술, 재무, marketing 등 기업활동의 다양한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갖게 되었고 따라서 기업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또한 전술, marketing , 재무등 경영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Aaker, 1997; Fombrun, 1995; Fombrun and Shanley, 1990). 기존 경영학에서의 연구의 주류는 기업이 갖고 있는 좋은 이미지나 평판이란 기업의 커다란 무형자산이며 이러한 자산으로서의 이미지나 평판이 소비자가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때나 혹은 그 기업이 잠재적인 제휴 파트너와 제휴를 맺을 때 파트너의 의사 결定義(정이)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Dollinger and Golden, 1997; Fombrun, 1995; Fryxell and Wang, 1994). 이렇게 기업의 이미지나 평판이 갖는 전이 혹은 확산efficacy (spillover effect)는 1980년대 이후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이를 기업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에 연결시킨 연구는 경영학에서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갭을 메우고자 한다. 조언을 해주신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의 조동성, 이동기교수,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문휘창 교수, 그리고 카톨릭대학교의 김기찬 교수께 감사드립니다.
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 , 기업이미지에대한디자인적접근(3)경영경제레포트 , 기업이미지 디자인적접근
순서
기업이미지에 대한 디자인적 접근
-한국 5대 재벌의 로고를 중심으로-
홍지원김재범
目 次
Ⅰ. 서론 - 기업 심벌마크의 처음
Ⅱ. 기업 아이덴티티 및 심벌마크에 대한 기존의 연구
Ⅲ. 자료(data)의 수집
Ⅳ. analysis결과
Ⅴ. 결 론
I. 서론 - 기업 심벌마크의 처음
기업의 로고 혹은 심벌마크는 인류의 역사(歷史)와 같이 처음 된 시각언어로서 추상적인 언어보다 빨리 이해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Gray, 1986). 원래 심벌마크는 자기소유라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나 중세 서유럽사회에서는 진일보하여 상인과 생산자를 discrimination화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처음 하였다 (Olin, 1988). 19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국가간의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심벌마크의 형태와 양상이 변하기 처음 하였다.
인덕대학 시각 디자인과 전임강사
명지대학교 무역학과 조교수
따라 그 디자인적 측면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기업 아이덴티티 성격을 가진 심벌마크의 기원은 19세기경 유럽의 상품에 사용된 심벌마크가 그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 (Gray, 1986; Olin, 1988). 미국에서는 1930년 대공황으로 경기가 극도로 침체되면서 기업활성화대책의 일환으로 심벌마크를 통한 기업의 이미지와 제품이미지제고가 각광을 받게 되었고 이에
본 논문은 인덕대학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습니다. 이 논문은 장기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의 연구성과를 introduce하는 것이므로 다소 實驗(실험)적(exploratory)측면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기업 아이덴티티 성격을 가진 심벌마크의 기원은 19세기경 유럽의 상품에 사용된 심벌마...
기업이미지에 대한 디자인적 접근
-한국 5대 재벌의 로고를 중심으로-
홍지원김재범
目 次
Ⅰ. 서론 - 기업 심벌마크의 처음
Ⅱ. 기업 아이덴티티 및 심벌마크에 대한 기존의 연구
Ⅲ. 자료(data)의 수집
Ⅳ. analysis결과
Ⅴ. 결 론
I. 서론 - 기업 심벌마크의 처음
기업의 로고 혹은 심벌마크는 인류의 역사(歷史)와 같이 처음 된 시각언어로서 추상적인 언어보다 빨리 이해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Gray, 1986). 원래 심벌마크는 자기소유라는 것을 나타내거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나 중세 서유럽사회에서는 진일보하여 상인과 생산자를 discrimination화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처음 하였다 (Olin, 1988). 19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국가간의 무역이 활성화되면서 심벌마크의 형태와 양상이 변하기 처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