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남북철도 연결과 한국철도의 비젼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6 23:53
본문
Download : 남북철도 연결과 한국철도의 비젼에 관한 연구.hwp
동북아철도에 대한 주변국의 입장을 정리해 보고, 동북아철도연결의 전제가 되는 남북철도의 운영현재상황을 검토해 본 후, 기술 및 운영전술, 추진전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남북간 직교역 증가 및 물류비절감뿐만 아니라 현재의 단순 임가공 형태의 교역이 설비 반출형 위탁가공으로 질적 향상이 기대된다 남북한 교통로 단절로 남한은 그동안 사실상 “삼면이 바다인 섬” 이었으나 남북철도의 복원으로 대륙연계 철도망이 구축된 반도의 기능을 비로소 회복할 것이다.
◦ 우리나라와 과거 북한과는 분단이전에는 철도를 통합 운영하였다. 철도운영의 경제적인 연장이 400km이상임을 고려할 때 한반도내에서 철도의 역할이 증대되고, 남북철도 운영으로 인한 경제적 이득이 지대할 것이다. Japan-남북한-china-러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철도 네트워크 구축으로 한반도가 동북아의 수송물류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해상 일변도의 운송 시스템에서 벗어나 육상을 포함한 복합운송 시스템으로 전환될 것을 고려하면 동북아 물동량을 상당부분 흡수 할 수 있도록 남북철도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북한체제의 개방을 유도하고 남북간 긴장을 완화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정착에도 기여할 것이다. 1927년 8월 1일에는 시베리아를 경유하여 아시아, 유럽과 각국과 여객과 화물운송을 개시하여 1945년 …(To be continued )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Download : 남북철도 연결과 한국철도의 비젼에 관한 연구.hwp( 19 )
다.남북철도연결과한국철도의비젼에관한연구 , 남북철도 연결과 한국철도의 비젼에 관한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I. 서론
II. 남북철도와 대륙철도 연결 추진
1. 남북철도의 운영상황
2. 국제철도의 운영상황
3. 한반도 종단철도 연결상황
4. 대륙횡단철도망 연결 계획
5. 한반도 종단철도 연결시 기대 效果
6. 남북철도 연결시 주변국의 상황
III. 남북철도와 대륙철도 연결추진을 위한 기술 및 운영과제課題
1. 연계추진을 위한 기술과제課題
2. 연계추진을 위한 운영과제課題
IV. 한국철도의 비젼
1. 한국철도 및 주변상황
2. 철도물류의 중요성
3. 동북아 철도물류중심 발전방향
4. 동북아 철도물류중심 실현을 위한 책략 및 과제課題
1) 동북아 물류중심기지의 역할역량 확보
2) 다양한 동북아 철도물류 루트의 개발
3) 남북철도 및 유라시아철도 네트워크 통합 사업
4) 열차페리사업
5) 고속철도 china 진출 사업
6) 남북철도 및 동북아 네트워크의 통합운영을 위한 다국적 공동협의체 구성
II. 남북철도와 대륙철도 연결 추진
1. 남북철도의 운영상황
◦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9월 18일 분단 55년의 history(역사) 를 종식하는 history(역사) 적인 철도연결사업인 문산~장단간 12km의 철도와 도로의 연계를 위한 착formula(공식)을 거행하였고, 2002년 9월 18일 동해선 공사를 스타트함으로써 남북간 교류·협력이 지금까지의 “선언적 단계”에서 “실천적 단계”로 돌입했다는 것을 대 내외에 보여주었다. 경의선은 경우 1906년에 서울에서 신의주까지 열차가 운영되었으며, 1912년 6월 15일에는 부산에서 china 장춘간에 직통열차를 운행하였다.
남북철도연결과한국철도의비젼에관한연구
,자연과학,레포트
남북철도 연결과 한국철도의 비젼에 관한 연구
순서
동북아철도에 대한 주변국의 입장을 정리해 보고, 동북아철도연결의 전제가 되는 남북철도의 운영현황을 검토해 본 후, 기술 및 운영전략, 추진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경의선은 아시아 대륙을 최단거리로 연결지어 주는 교량적 성격을 지닌 우리의 동맥철도이며, 동해선연결은 백두대간의 중심에 위치한 설악과 금강을 연계하는 강원도의 지역개발과 동북아시아 2대 경제권중 하나인 환동해권 개발이라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