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12 10:58
본문
Download :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_2044799.hwp
고체의선팽창계수측정(測定) -결과보고서






,공학기술,레포트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해본 글입니다. 이제 이 식을 이용하여 42℃일 때 선로의 길이를 계산하면
따라서, 온도가 42℃까지 상승하더라도 선로 사이에 압력이 없도록 하려면, 20m 선로사이에 적어도 약 10.08mm 이상의 간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아
⇒ 실제로 철도선로는 온도 變化(변화)에 따른 신축성을 고려하여 30 kg 레일(1m당)의 경우는 20m, 37kg, 50kg 레일은 25m의 표준길이를 정해 놓고 표준길이 마다 10mm 내외의 유간간격을 두어 설계되어 있다아
2. 결과 및 토의
1. theory(이론)치와의 오차
이번 test(실험) 은 서로 다른 네 가지 금속 시료의 온도變化(변화)에 따른 길이 變化(변화)를 측정(measurement)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팽창계수를 계산한 후, theory(이론)치와 비교하는 test(실험) 이다.고체의선팽창계수측정-결과보고서 ,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공학기술레포트 ,
1. test(실험) 값 및 결과
2. 결과 및 토의
1. theory(이론)치와의 오차
2. 오차의 원인(原因) &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3. 참고 문헌
1. 고체의 선팽창계수와 체팽창계수 사이의 관계식을 유도하라.
고체의 체팽창계수를 라고 할 때 체적증가량와 온도 상승량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고,
(1)
선팽창계수를 α라고 할 때, 길이증가량 과 온도 상승량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다. 이 식에 의하여 구하고자 하는 선팽창 계수 를
(8)
로 표현된다아 따라서 및 를 측정(measurement)하면 를 계산으로 얻을 수 있다아
엄밀히 말하면, 식 (5)에서 얻은 의 값은 와 사이의 average(평균) 선팽창계수이고 식 (8)에서는 와 사이의 average(평균) 선팽창계수이므로 이 값들이 실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더라도,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금속 시료로는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황동을 이용하였으며, 각각 28.0 (%), 21.0 (%), -49.4 (%), 28.3 …(투비컨티뉴드 ) (%) 의 비교적 큰 오차가 생겼다. 온도가 42℃까지 상승하더라도 선로사이에 압력이 없도록 하려면 선로사이의 유간은?
선팽창계수를 α라고 할 때, 길이증가량 과 온도 상승량사이에는
이 성립하고, 온도 에서의 길이를 표준으로 하여로 취하면 에서는
온도 상승이 이므로 길이은
이다.설명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測定)
Download :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_2044799.hwp( 32 )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測定) ` 실험을 통해 나온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해본 글입니다.
(2)
(1)과 (2)에서
이고, 이므로
(3)
따라서, (2)번 식과 (3)번 식을 비교해보면 임을 알 수 있다아
2. 온도 0℃에서 철도선로(철)가 놓여있다아 선로의 표준길이는 20m이다.
2. 오차의 원인(原因) & 오차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① theory(이론) 오차
에서의 길이를 표준으로 하여로 취하면에서는 온도 상승이 이므로 길이은
(4)
로 주어지며, 이로부터 선팽창계수 는
(5)
로 표현된다 그러나 일일이 에서의 길이를 측정(measurement)할 수 없으므로 에서와 에서의 길이과 측정(measurement)하여
(6)
를 얻고 이로부터
(7)
를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