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0 01:44본문
Download : 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hwp
, 미군의 폭격, 월남 등의 결과라 판단된다 이것은 남한측 data(자료)에서 확인되는…(skip)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한국전쟁의 피해한국전쟁이 남긴 북한의 인적·물적 피해는 남한의 피해를 훨씬 능가했다. 우선, 북한의 인명피해를 보면, 특히 민간인의 인명...
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
다. 북한의 기록(과학백과사전출판사(1981), ꡔ조선전사 26ꡕ, pp. 129-130)에 의하면, 점령지역에서 미군의 지휘감독과 직접적인 적대행위에 의해서 172,000여명이 학살되었으며, 황해도 신천군의 경우, 총인구의 1/4인 35,383명이 학살되었고 그 가운데 노약자와 부녀자가 16,234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우선, 북한의 인명피해를 보면, 특히 민간인의 인명피해는 남한의 2배 이상으로 심했음을 알 수 있다(<표 1> 참조).
<표 1>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
북 한
중 국 군
남 한
유 엔 군
군 인
민 간 인
군 인
민 간 인
사 망
294,151
406,000
184,128
373,599
227,748
36,813
부 상
225,949
1,594,000
715,872
229,652
717,083
114,816
실 종
91,206a
68,000b
21,836a
387,744c
43,572
6,198
계
611,206
2,680,000
921,836
990,995
988,403
157,827
주: a 포로, b 남한으로 이동을 포함한 수, c 이중 84,532는 납북된 수(일부 통계는 북한의 의도적 조작일 가능성을 배제못함)
출처: 「통일조선신문」, 1970. 6. 27. 길영환, Politics and Policies in Divided Korea (Westview Press, 1984), p. 42에서 재인용.
이러한 사실은 북한 점령기간의 학살 알려지지 않은 1950년 10월 미군의 38선 이북 점령기간 동안의 북한주민의 희생은 인민군에 의한 남한주민의 희생 못지 않은 것이었다. 한국전쟁의 피해
한국전쟁이 남긴 북한의 인적·물적 피해는 남한의 피해를 훨씬 능가했다. 우선, 북한의 인명피해를 보면, 특히 민간인의 인명... , 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경영경제레포트 ,
Download : 한국전쟁과 북한의 전후경제복구 및 건설.hwp( 69 )






설명
순서
한국전쟁의 피해
한국전쟁이 남긴 북한의 인적·물적 피해는 남한의 피해를 훨씬 능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