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지도를 통한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8 09:20
본문
Download : 미술지도를 통한 치료.hwp
^^






미술지도를 통한 치료의 theory(이론)으로서 미술치료의 definition 및 definition , 장소, 발전과정과 efficacy 및 advantage, 적용대상, definition 적 모형을 정리하고 미술치료의 실제로서 environment, 시간, 구성, 매체 및 資料, 진행과정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가족미술치료, 아동기와 youth기 가족의 미술치료에 상대하여 정리했습니다. 매체에서 고려할 점은 촉진과 통제인데 촉진은 충분한 공간, 여러 가지 재료, 다양한 색상으로 촉진시키고, 통제는 케이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다.
미술재료는 치료시간, 공간, 내담자의 성향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될 수 있따 미술치료는 다른 심리치료와 달리 작품을 완성되지 못하였을 때 느껴지는 미해결된 느낌이 있어 주어진 시간에 완성될 수 있는 재료가 제공되어야 하며, 바닥과 벽의 상태에 따라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런 점도 고려하여 재료를 선택한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Download : 미술지도를 통한 치료.hwp( 38 )
미술지도를 통한 치료
레포트/예체능
순서
다.
Ⅰ. 이론(理論)
1. 예술의 定義(정의)와 미술의 영역
2. 미술치료의 定義(정의) 및 concept(개념)
3. 미술치료의 장소
4. 미술치료의 발전
5. 미술치료가 마음의 건강유지, 증진이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6. 미술치료의 적용대상
7. concept(개념)적 모형(rubin,1987)
1) 정신역동적 접근
(1) ART IN THERAPY 치료에서의 미술
(2) ART AS THERAPY 치료로서의 미술
(3) 융학파의 analysis적 미술치료
2) 인간중심적 접근
(1) 아들러 심리학
(2) 현상학적 미술치료
(3) 게스탈트 미술치료
3) 인지, 행동, 발달적 접근
(1) 인지적 접근
(2) 발달적 접근
(3) 행동주의식 접근
8. 미술치료의 長點
1) 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2) 방어가 감소된다
3) 저항 감소
4) 유형화된 대상을 즉시 얻을 수 있다
5) 영속성이 있어 회상할 수 있음
6) 창조성 및 에너지 발산
9. 미술치료의 과정(초기단계, 중기 단계, 말기 및 종결단계)
1) 초기 단계
2) 중기 단계
3) 말기 및 종결 단계
Ⅱ. 실제
1. 環境(환경)
1) 미술치료실의 물리적 環境(환경)
2) 심리적 環境(환경)(치료자의 역할 및 참여)
2. 시간
3. 구성
4. 매체 및 재료
5. 미술치료의 진행과정
6. 평가와 토론의 중요성
Ⅲ. 미술검사 및 기법
Ⅲ. 가족미술치료
1. 부적응 행동의 가족적 요인
2. 가족적 影響(영향)에 대한 concept(개념)적 모형
1) 학습모형(the learning model)
2) 상호작용적-상호거래적 모형(The interaction-transactional model)
3) 부적응 행동가족의 상호작용
3. 가족체계 치료법
Ⅲ. 아동기와 靑少年기 가족의 미술치료
1. 아동기 가족의 특징
1) 아동의 발달과업
2) 부모의 발달과업
3) 아동기 가족의 발달과업
2. 아동의 미술치료 기법
1) 동적학교화(KSD)
2) 동물가족화
3. 靑少年기 가족의 특징
1) 靑少年의 발달과업
2) 부모의 발달과업
3) 靑少年기 가족의 발달과업
4. 靑少年기의 미술치료 기법
1) 자화상
2) 집단 벽화
4. 매체 및 재료
모든 치료에서 라포가 기본이며, 의사는 약으로 치료사는 매체로 치료한다고 할 만큼 매체가 중요하다. 재료는 간단하고, 적절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것, 다루기가 쉬워야 한다.
5. 미술치료의 진행과정
회기 당 미술치료의 진행과정은 대략 도입, 활동, 토론의 순서로 진행된다
도입부분은 서로 친밀해 지면서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긴장이완을 위한 호흡법이나 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내담자의 성격은 재를 선택할 때 주의깊게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다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미술재료 중 물감, 핑거페인트, 물기가 많은 점토 등은 퇴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재료로써 성격이 경직된 내담자에게는 매우 유용하지만 충동적이고 자아경계가 불분명한 내담자에게는 충동적 성향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따 반면 색연필, 사인펜과 같은 딱딱한 재료는 높은 통제력을 지닌 재료로서 충동적 성향을 통제하기 용이하다.알찬 레포트를 작성하시려는 분들께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만약 치료가 처음 스타트될 경우에는 이 시기에 치료goal(목표) 를 설정하고 미술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說明(설명) 과 규칙을 정할 수 있따 이미 진행중인 경우에는 그 시간의 활동에 대해…(skip)
미술지도를 통한 치료의 이론으로서 미술치료의 정의 및 개념, 장소, 발전과정과 효과 및 장점, 적용대상, 개념적 모형을 정리하고 미술치료의 실제로서 환경, 시간, 구성, 매체 및 자료, 진행과정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가족미술치료, 아동기와 청소년기 가족의 미술치료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 , 미술지도를 통한 치료예체능레포트 ,
설명
,예체능,레포트
알찬 레포트(report) 를 작성하시려는 분들께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이렇게 내담자의 성격과 반대성향의 재료를 제공하는 것은 그의 내면세계의 억압되어진 부분을 재통합하는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담자의 자아기능이 미성숙한 경우에는 동시에 너무 많은 재료를 제공하면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내담자의 인지수준에 따라 재료를 제한해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