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 휠체어 펜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05:49
본문
Download : 예체능 휠체어 펜싱.ppt
Download : 예체능 휠체어 펜싱.ppt( 75 )
Wheelchair
Fencing
차 례
1.역싸
2. 의무분류
3. 시설 및 용구
4. 경기방법 및 규칙
5. 전술
6. 연습방법
참고-용어해설
휠체어 펜싱의 역싸
Paralympics(장애인올림픽) 창시자인 Sir Lauding Guttman 에 의해
처음 紹介(소개).
1960년 로마 패럴림픽때부터 정식종목 채택.
휠체어 펜싱을 주관하는 국제 스토크 맨더빌 휠체어 경기협회(ISMWSF)는
국제 펜싱협회(FIE)의 규정을 준수, 장애인 경기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
현재 유럽 전역에 퍼져있고 `88서울장애인올림픽 이후 아시아권에서도
점차 확대.
1.역싸
한국의 휠체어 펜싱
`88 서울 장애인 올림픽 유치 후 이를 계기로 국내에 紹介(소개).
1986년 한국소아마비협회(정립회관)에서 처음 실시.
현재, 한국휠체어펜싱동우회(회장:최일주96년~03년)가 발족,
선수육성 및 훈련, 각종 시합에 우수선수를 선발하여 파견.
국내에는 약 20 여명의 선수가 있으며 대표급 선수로는4-5명 정도만이
활동하고 있어 선수의 저변 확대와 특히 여자 선수들을 육성이 시급함.
1.역싸
2. 의무분류
1A 등급
1B 등급
2 등급
3 등급
4 등급
최소의 장애
1A 등급
앉은 자세 균형이 없고 펜싱 하는 팔에 장애가 중증인 선수들.
주관절 신전이 안되고 손의 기능이 없으며
경추5/6 완전 사지 마비에 해당.
칼이 밴드로 고정되어야 함.
1B 등급
앉은 자세 균형이 없고 펜싱 하는 팔에 장애가 있는 선수들.
주관절 신전은 가능하나 지관절 굴곡이 안됨.
칼은 밴드로 고정.
경추7/8 완전 사지 마비나 불완전 사지마비.
비슷한 장애를 가진 선수들은 펜싱 하는 팔의 기능에 따라 분류.
2 등급
불량 또는 보통의 앉은 자세 균형이 있는 선수.
흉추 1-8 하지 마비와 펜싱 하는 팔에 장…(투비컨티뉴드 )
설명
예체능 휠체어 펜싱
레포트/인문사회
예체능 휠체어 펜싱 , 예체능 휠체어 펜싱인문사회레포트 , 예체능 휠체어 펜싱
예체능 휠체어 펜싱






예체능,휠체어,펜싱,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