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3 07:11
본문
Download :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hwp
설명
일반적으로 습진, 염증, 유두종, 탈색 등 피부손상, 출혈을 일으키고 심하게 중독되면 폐경색, 기관지 폐염, 농성 기관지염, 심근변성과 괴사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직접 피해지역인 대구에는 당시 42만 세대 162만명이 페놀로 인한 피해를 당했다. 조사 결과 구미 공단의 두산전자에서 3월14일 밤10시부터 다음날 6시까지 8시간 동안 페놀원액 30톤을 불법방류한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페놀로 오염된 물을 이용한 市民의 약92%가 수돗물에서 특유한 악취를 느꼈고 44%가 소화기증상과 같은 페놀관련 증상을 호소하였다. 피해 임산부들이 겪은 정신적 육체적 피해는 말할 것도 없다. 검찰조사결과 두산전자는 1990년 11월 1일부터 1991년 2월 28일까지 무려 325t의 페놀을 공장인근에 있는 낙동강 상류로 불법방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낙동강오염,페놀사건
낙동강 페놀사건은 1991년 3월16일 시민(Citizen)의 제보로 시작되었다.
1991년 당시 두산전자에서 전자회로기관의 재료공정에 필요한 페놀 30t이 유출되어 낙동강 하류지역에 일시적으로 페놀의 농도가 증가된 사건이다. 특히, 인근 대구시의 수돗물에까지 페놀 및 염소소독결과 2차적으로 생성된 염화페놀로 인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였다. 조사 결과 구미 공단의 두산전자에서 3월14일 밤10시부터 다음날 6시까지 8시간 동안 페놀원액 30톤을 불법방류한 사실이 드러났다. 두산전자에서 흘려보낸 독극물이 옥계천을 지나 그대로 낙동강 원수에 흘러들어 천오백만 영남지역 시민(Citizen)들의 식수로 쓰여진 것이다. 특히 직접 피해지역인 대구에는 당시 42만 세대 162만명이 페놀로 인한 피해를 당했다. 두통, 구토를 비롯하여 수족관 물고기 떼죽음, 한약 오염, 장, 김치, 음식류 오염, 음식점 조업 중단 같은 물적피해도 막심하였다. 지속적으로 페놀을 섭취하면 신장에 실질신염, 혈구의 공포화를 가져온다고 한다.
Download :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hwp( 97 )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낙동강 페놀사건은 1991년 3월16일 시민의 제보로 시작되었다. 두산전자에서 흘려보낸 독극물이 옥계천을 지나 그대로 낙동강 원수에 흘러들어 천오백만 영남지역 시민들의 식수로 쓰여진 것이다. 클로로페놀은 페놀의 300~500배에 달하는 발암성 유독물질이었다. 대구 인구의 71%에 달하는 사람들이다. 수돗물에서 심한 악취가 나고 물을 먹고 나니 이상한 증상이 일어난다는 것이었다. 1991년 3월21일 市民단체가 실시한 experiment(실험)에서, 페놀 허용 기준치 용액에 금붕어 두 마리를 넣었더니 20분만에 발작을 일으켜 허둥대다가 3시간 45분만에 두 마리 모두 죽어 물위에 떠올랐다. 대구 인구의 71%에 달하는 사람들이다. 수돗물에서 심한 악취가 나고 물을 먹고 나니 이상한 증상이 일어난다는 것이었다.
다.

-경과
페놀사건 당시 다사유원지에 유입된 페놀은 정수과정에서 살균제인 염소와 화학反應을 일으켜 클로로페놀을 형성하였다. 대구市民 70%의 식수를 공급하는 다사유원지에 페놀원액은 살균제인 클로로페놀을 형성, 페놀허용기준의 300~500배에 이르는 오염을 일으키게 되었다. 페놀이 염소와 反應하여 염화페놀이 생성되면 악취가 100배 이상 증가하여 다른 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된 바있다.
-페놀은 어떤 물질인가?
임산부들은 대체로 설사와 구토, 피부질환에 시달렸으며 인공유산 휴유증으로 하반신이 마비된 피해자가 있는가 하면 분만한 아이의 피부 및 기관지 질환, 사산, 유산, 기형아 출산을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