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용량유전율결과1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2-23 20:12
본문
Download : 전기용량유전율결과1.doc
(2) 유전율 측정(測定)
d= 0.0026 …(省略) m , A = 0.036 m2
유전체 C2(F) R2 / R1 R2 / R1의 평균(average)값 C1(F) ε(F/m) k
공기
1 n 15.0 /85.0
0.17
0.17 n
1.224
10-11
13.823 15.0 /85.0 14.5 /85.5
아크릴
(yellow)
1 n 30.0 /70.0
0.42
0.42 n
3.024
10-11
34.150 30.0 /70.0 29.0 /71.0
베이크라이트
(black)
1 n 43.5 /56.5
0.77
0.77 n
5.544
10-11
62.089 43.5 /56.5 43.0 /57.0
테프론
(white)
1 n 12.0 /78.0
0.28
0.28 n
2.xxx
10-11
22.767 12.5 /77.5 12.0 /78.0
두 개의 평행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 용량 C는 평행판의 크기에 비해 두 평행판의 간격이 아주 작을 때, 근사적으로 다음 식을 만족한다.
C = ε ( A / d )
그리고 각각의 유전 상수는 진공상태의 유전율로 물질의 유전율을 나누어 주면 된다 즉 전기용량과 평행판의 면적과 간격을 측정(測定) 하면 진공의 유전율을 이용하여 물질의 유전상수를 구할 수 있따 실제 공기의 유전 상수는 1.00059이지만 측정(測定) 값은 13.822라는 값이 나왔다.
6. 토의 및 느낀점
질문
공기의 유전율과 유전 상수의 측정(測定) 값은 실제값과 얼마나 다른가
측정(測定) 값과 실제값이 달리 나온 原因은 무엇일까
진공의 유전율과 유전상수는 8.85510-12, 1.00059이다. 그리고 유전 상수의 크기는 공기, 흰색 테프론, 노란색 아크릴판, 검은 베이크라이트 순으로 크기가 증가했다. 실제 값보다 큰 값이 나온 것은 식을
전기용량유전율결과1
전기용량유전율,전기전자,실험결과
다. 그러나 측정(測定) 한 값은 1.22410-10, 13.822로 나왔다.설명




전기용량유전율결과1 , 전기용량유전율결과1전기전자실험결과 , 전기용량유전율
전기용량유전율결과1
Download : 전기용량유전율결과1.doc( 46 )
실험결과/전기전자
순서
`결과 보고서`
전기 용량과
유전율 측정(測定)
담당교수 : 한정훈 교수님
담당조교 : 김경환 조교님
학부, 학번 : 工學계열 2004312751
조 번호, 이름 : 2 조 이다은
5. 결과
(1) 전기 용량 측정(測定)
미지의 축전기 C2 (F) R2/R1 R2/R1의 평균(average)값 C1 (F)
#1
100 n 95.5 /4.5
19.8333
1.98310-3 95.1 /4.9 95.0 /5.0
#2
100 n 86.5 /13.5
6.1788
6.17810-4 86.0 /14.0 85.7 /14.3
#3
100 n 47.6 /52.4
0.900057
9.0005710-5 47.5 /52.5 46.0 /53.0
#4
100 n 19.5 /80.5
0.2396
2.39610-5 19.5 /80.5 19.0...
`결과 보고서`
전기 용량과
유전율 측정(測定)
담당교수 : 한정훈 교수님
담당조교 : 김경환 조교님
학부, 학번 : 工學계열 2004312751
조 번호, 이름 : 2 조 이다은
5. 결과
(1) 전기 용량 측정(測定)
미지의 축전기 C2 (F) R2/R1 R2/R1의 평균(average)값 C1 (F)
#1
100 n 95.5 /4.5
19.8333
1.98310-3 95.1 /4.9 95.0 /5.0
#2
100 n 86.5 /13.5
6.1788
6.17810-4 86.0 /14.0 85.7 /14.3
#3
100 n 47.6 /52.4
0.900057
9.0xxxxxx-5 47.5 /52.5 46.0 /53.0
#4
100 n 19.5 /80.5
0.2396
2.39610-5 19.5 /80.5 19.0 /81.0
#5
10 n 5.6 /94.4
0.0585
5.85xxx-6 5.6 /94.4 5.4 /94.6 (C1 : 미지 축전기의 전기 용량, C2 : 기지 축전기의 전기 용량)
저항비를 조정하여 두 점 c와 d사이의 전류가 0이면 각각의 저항에는 같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각각의 축전기에도 역시 같은 양의 전하가 축적된다 전위차가 같다고 했을 때 식은
C=(R / R )C
검류계의 전류가 0이 될 때의 저항비와 전기용량을 알면 전기용량 C 을 구할 수가 있게 된다 저항선에 검침봉을 수직으로 두고 움직여서 신호 증폭기에서 나는 소리가 사라지는 지점이 전류가 0인 지점이 되고 기지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구한 다음 앞의 식에 대입하면 미지 축전기의 전기 용량을 알수 있따 위의 표를 보면 함수 발생기의 출력 신호 주파수와 전압을 달리 했을 때 각각 나타나는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