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선사문화 : 중원지역의 선사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09 08:31
본문
Download : 우리의 선사문화 중원지역의 선사문화.hwp
다만 그 처음 을 기원전 13세기에서 10세기, 그 끝을 기원전후로 보는 여러 견해가 혼재해 있따 대략 기원전 10세기를 …(생략(省略)) 처음 년대로하여 전기(BC 1,000-BC 300년)와 후기(BC 300-서력기원전후, 초기철기시대)의 두시기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무난할 것 같다.
설명
순서
다. 그러나 고고학상의 용어로 금석병용기란 신석기시대 말기에 간단한 순동제품들이 석기와 함께 쓰이던 시대를 말하는 것이므로 타당한 것이 못되며, 해방후 북한에서 먼저 청동기유적이 발견 보고되었고, 이후 남한에서도 발견되어 청동기시대의 존재가 따로 설정되게 되었다. 과거 일본인 학자들은 우리나라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의 정상적인 발달과정을 거치지 못한 것으로 보아 청동기와 철기가 동시에 유입되어 신석기에서 바로 철기시대로 넘어갔다고 하여 청동기시대를 부인하고 금석병용기시대로 설정해 놓았었다.
보통 우리나라의 청동기文化(문화)는 시베리아 미누신스크지방의 카라스크文化(문화)(Kara suk)에서 발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청동기시대의 연대편년에 상대하여는 아직 정설이 없다.
이 시대의 주민문제도 빗살무늬토기를 사용하던 예족이 민무늬토기를 사용한 맥족에 의해 대체되는 것으로 파악하는 理論과, 신석기시대의 고아시아족이 알타이계통의 예맥족에 의해 흡수 동화되는 것으로 보는 설이 있어 분명하지 않다.우리의선사문화9 , 우리의 선사문화 : 중원지역의 선사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중원지역의 선사문화와 유적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우리의선사문화9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우리의 선사문화 중원지역의 선사문화.hwp( 80 )
우리의 선사문화 : 중원지역의 선사문화
목 차
Ⅰ. 서 론 : 인류의 기원
Ⅱ. 본 론 : 중원지역의 선사文化(문화)
1. 구석기 시대
(1) 제천 점말 용굴유적
(2) 청원 두루봉 동굴유적
(3) 단양 금굴유적
(4) 단양 수양개 유적
2. 중석기시대
3. 신석기시대
(1) 신석기시대의 연대구분
(2) 중원지방의 신석기유적
4. 청동기시대
(1) 중원의 청동기시대 유적
1) 제천 황석리 고인돌
2) 청주 내곡동집터
Ⅱ. 결 론 : 중원文化(문화)의 특징
해방후 한국 고고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업적중의 하나는 청동기시대의 연구라고 하겠다.
중원지역의 선사문화와 유적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