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통상現況과 협력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13 16:40
본문
Download : 한-EU 통상현황과 협력방향.hwp
한편 1997-2001년까지의 기간 중 우리의 대EU수출은 연mean or average(평균) 6.7% 증가하고 반면에 수입은 6.0% 증가하여 2001년에 수출은 15억 700만 달러, 수입은 160억 4, 800만 달러에 달하여 우리의 대EU무역수지 적자폭이 1억 4,100만 달러에 달했다. 우리나라의 대EU 수입상품구조를 보면 1995년의 경우 일반기계류 33.7%, 화학 18.2%, 전기 ? 전자 8.3%, 정밀기계 6.3%를 차지하여 기계류와 화학제품이 전체의 66.5%를 차지하고 있다아
2001년까지 EU로부터의 수입은 일반기계, 화학제품, 전기 ? 전자, 정밀기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이들 품목이 전체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70%에 달할 것으로 展望되고 있다아 이 밖에도 사무용기기, 전기 ? 전자제품, 섬유사 ? 직물 등의 수입도 1997-2001년 사이에 매우 빠르게 증가했다.
한,EU,통상과,협력방향,기타,레포트
한-EU 통상동향과 협력방향
목차
한-EU 통상동향과 협력방향
Ⅰ. 한, EU 통상동향
1. 교역규모
2. 수출구조
3. 수입구조
Ⅱ. 한, EU 통상협력방향
1. 기본방향
1) 책략적 수출시자응로서의 비중 제고
2) 새로운 분업체제의 구축
3) 경제협력 다變化(변화)정책의 협력대상
4) 제3국 시장에서의 협력 파트너
2. 통상증진대안
1) 시장環境 變化(변화)에 대한 정보분석
2) 적극적인 마케팅책략 추진
3) 통상마찰 해소
3. 산업협력대안
1) 산업협력확대를 위한 기반 조성
2) 현지투자진출 확대유도
3) 능동적 기술협력 추진
4) 중소기업분야의 협력확대
한-EU 통상동향과 협력방향
1. 한. EU 통상동향
1) 교역규모
우리나라의 대EU교역규모는 1993-1996년의 기간 중 수출이 연mean or average(평균) 5.6% 증가하고 수입이 연mean or average(평균) 5.8% 증가하여, 1996년에 수출은 114억 4,800만 달러, 수입은 119억 달...
한-EU 통상동향과 협력방향
목차
* 한-EU 통상동향과 협력방향
Ⅰ. 한, EU 통상동향
1. 교역규모
2. 수출구조
3. 수입구조
Ⅱ. 한, EU 통상협력방향
1. 기본방향
1) 책략적 수출시자응로서의 비중 제고
2) 새로운 분업체제의 구축
3) 경제협력 다變化(변화)정책의 협력대상
4) 제3국 시장에서의 협력 파트너
2. 통상증진대안
1) 시장環境 變化(변화)에 대한 정보분석
2) 적극적인 마케팅책략 추진
3) 통상마찰 해소
3. 산업협력대안
1) 산업협력확대를 위한 기반 조성
2) 현지투자진출 확대유도
3) 능동적 기술협력 추진
4) 중소기업분야의 협력확대
한-EU 통상동향과 협력방향
1. 한. EU 통상동향
1) 교역규모
우리나라의 대EU교역규모는 1993-1996년의 기간 중 수출이 연mean or average(평균) 5.6% 증가하고 수입이 연mean or average(평균) 5.8% 증가하여, 1996년에 수출은 114억 4,800만 달러, 수입은 119억 달러에 달했으며 대EU무역수지는 5억 5,4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또한 그 동안 꾸준히 증가하였던 전기 ? 전자제품의 수출은 그 동안 EU측의 잦은 반덤핑제소 등 무역環境의 악화로 1988년 대EU 수출비중이 24.4%로 낮아졌고 1995년에는 다시 21.4%로 더욱 낮아졌다. 또한 정밀기기, 일반기계류, 철강제품, 도로용 차량 등 수송기계, 화학제품 등의 대 EU수출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빠를 것이 예상된다된다.
2. 한-EU 통상협력방향
1) 기본방향
(1) 책략적 수출시장으로서의 비중 제고
우리나라의 대EU 주종수출상품은 전기 ? 전자제품, 의류, 신발
한-EU 통상現況과 협력방향
설명
레포트/기타
한-EU 통상現況과 협력방향






Download : 한-EU 통상현황과 협력방향.hwp( 99 )
한-EU 통상현황과 협력방향 , 한-EU 통상현황과 협력방향기타레포트 , 한 EU 통상과 협력방향
순서
다.
대EU의 수출입 동향
3) 수입구조
1988-95년 기간 동안의 수입구조變化(변화)를 보면, 일반기계류의 수입비중이 1988년에는 26.8%에서 1995년에는 36.8%로 높아져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인 반면, 화학제품의 수입은 동 기간 동안 22.9%에서 18.2%로 낮아진 것을 비롯하여 철강제품, 도로용 차량, 기타 수송기계 등의 수입비중이 감소되었다. 또한
이 기간중 대EU수출구조는 과거 경공업 위주의 수출에서 점차 자동차 등 성
숙산업 및 전기 ? 전자 등 첨단산업의 수출구조로 보다 고도화되고 있다아
대EU 최대수출상품이었던 의류제품은 후발개도국의 추격에 따른 가격경쟁력의 약화로 수출부진현상이 두드러져, 1988년에 대…(省略) EU 총수출의 35.0%를 점하였던 수출비중이 1995년에는 12.8%로 감소되었다.
2) 수출구조
지난 1988-95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대EU수출상품구조를 보면 잡제품 및 전기 ? 전자제품을 제외한 여타 공산품의 수출비중이 증가하여 왔다. 이에 따라 EU와의 교역은 2001년까지 적자기조를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展望되었다. 그러나 1988년 3.5%에 불과했던 도로용 차량의 수출은 1995년에 11.7%로 크게 제고되어 우리의 대EU 수출주종상품으로서의 위치를 굳혀 가고 있다아
2001년에 대EU수출은 전기 ? 전자제품, 도로용 차량, 사무용기기 등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가까운 47%수준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