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살리기] 4대강정비사업의 향후project와 나의 견해- 4대강살리기 찬성반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02:58
본문
Download : 4대강살리기 프로젝트 찬반양론과 향후과제.hwp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추진하는 정부의 사업 추진 배경과 목표, 기대효과 등을 분석하였으며 그에 대한 찬성입장과 반대입장을 정리하고 개인적 견해를 밝혔습니다. 관련 자료(data) 작성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4대강 보다 지방 군소하천 정비가 더 시급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국가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보고서」, 2008.
미래는우리손안에,「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자연재난·재해 대책」,2009.
2) 수질개선과 하천복원으로 건전한 수생태계 조성
7. 4대강 살리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순서
[4대강살리기] 4대강정비사업의 향후project와 나의 견해- 4대강살리기 찬성반대-
Download : 4대강살리기 프로젝트 찬반양론과 향후과제.hwp( 59 )
3) 국민 여가문화 수준 및 삶의 질 향상
1) 4대강 살리기는 ‘한반도 대운하’의 사전작업
조별과제로 작성한 보고서이며 심혈을 기울여 작성했습니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추진하는 government 의 사업 추진 배경과 목표(goal), 기대효능 등을 分析(분석)하였으며 그에 대한 찬성입장과 반대입장을 정리하고 개인적 견해를 밝혔습니다. 관련 자료 작성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국토해양부, 2009.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국가지속가능발전지표 평가 보고서」, 2008. 미래는우리손안에,「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자연재난·재해 대책」,2009. 박창근,「운하를 넘어 생명의 강으로 :4대강 정비 사업의 실체를 밝힌다」, 환경과생명, 2009. 서동일,「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와 하천 수질」, 한국수자원학회, 2009. 김상한,「우리나라 수질관리와 개선방안 현황」, 연세대 보건환경대학원, 2007. 김성곤 기자,「22조원 투입 38조원 생산효과… 강따라 돈이 흐른다」, 서울신문, 2009.08.11일. 윤호우 기자,「4대강 설치 보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경향신문, 2009.06.23일.
Ⅱ. 몸말
9. 4대강 살리기 반대론자들의 주장
6) 일자리 창출과 생산유발효과
Ⅰ. 머리말
다.
5. 4대강 살리기 추진plan
2)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반대입장
박창근,「운하를 넘어 생명의 강으로 :4대강 정비 사업의 실체를 밝힌다」, environment과생명, 2009.
4대강살리기 , 4대강살리기사업 , 4대강살리기프로젝트 , 4대강정비사업
1)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찬성입장
1. 4대강 살리기(4대강 정비사업)란?
Ⅲ. 맺음말(4대강 살리기에 대한 나의 견해)
3) 보 설치로 인한 수질의 악화
3. 다목적 국가프로젝트로서 4대강 살리기의 의의
윤호우 기자,「4대강 설치 보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경향신문, 2009.06.23일.
Ⅳ. 서지사항





서동일,「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와 하천 수질」, 한국수자원학회, 2009.
[참고자료(data)]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국토해양부, 2009.
6.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의 주요내용
4.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의 범위
5) 물관리 글로벌리더러서 국가위상 제고
김상한,「우리나라 수질관리와 改善(개선) 대안 現況」, 연세대 보건environment대학원, 2007.
1) 홍수피해와 물부족을 근본적으로 해결
4) 녹색뉴딜 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8. 4대강 살리기 찬성론자들의 주장
10.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 찬반입장
김성곤 기자,「22조원 투입 38조원 생산효능… 강따라 돈이 흐른다」, 서울신문, 2009.08.11일.
설명
2. 4대강 살리기(4대강 정비사업)의 추진배경
조별project로 작성한 보고서이며 심혈을 기울여 작성했습니다. government 가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가속화되고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조사 자료(data)입니다. 정부가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가속화되고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조사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