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instance(사례)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9 17:31
본문
Download :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사례관리.ppt
사업계획/기타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instance(사례)관리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instance(사례)관리
순서
Download :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사례관리.ppt( 20 )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사례(instance)관리
목 차
지history(역사) 회와 정신보건관계
전주시정신보건사업 안내
정신보건법 주요 개정 내용
지history(역사) 회 사례(instance)관리
1. 지history(역사) 회와 정신보건관계
지history(역사) 회 정신보건의 특징
정신질환자 관리의 중심이 되는 장소가 병원이나 수용소와 같은 시설이 아닌 지역 사회이며
지history(역사) 회 정신보건의 대상은 개인보다는
지history(역사) 회 내의 주민 전체가 되며?
지history(역사) 회 정신보건은 치료적 서비스와는 별도로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 중요성 둔다.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변화과정(1)
1970년대 :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정신보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사회로 표출
- 미신적인 요소와 자본주의적 물신숭배요소
- 정신질환을 수용하는 기도원, 미인가시설
- 비치료적, 비인권적인 정신질환 관리
- 정신병상 확대 대책 : 생활보호제도(의료급여제도),
시설보호제도(정신요양시설,부랑인시설,사회복
지시설)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변화과정(2)
1980년대 중반이후 :정신질환 종합대책수립
- 지속적인 정신병상 확대 대책
- 대형 정신병원, 정신요양시설을 탄생
- 부랑인 시설의 정신질환 수용을 증가
- 장기입원과 수용위주의 서비스 체계
1995년 : 정신보건법 제정
- 지history(역사) 회 정신보건의 확대 : 정신질환자와 가족의
욕구가 분출 : 정신사회재활협회, 정신보건센터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가 지history(역사) 회정신보건사업 출발
2009년도 정신보건사업 추진 방향 1
1)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improvement 및 정신질환자 권익증진
○ 정신보건시설의 정신질환자 인권보호 대책
- 시도 및 시군구 정신보건심의위원회의 기능 활성화
- 입퇴원(소) 철차 준수, 최소한의 격리 및 강박 시행, 작업요법 절차준수 등
?○ 정신질환자 인권침해 방지 및 권익보호
○ 정신질환 편견해소 및 인식improvement을 위한 교육ㆍ홍보
- 홍보매체 다양화 및 …(To be continued )






전주시정신보건사업,사례관리,기타,사업계획
설명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사례관리 , 전주시정신보건사업 및 사례관리기타사업계획 , 전주시정신보건사업 사례관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