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7 21:09
본문
Download : 분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hwp
그리고 지도행정시스템 또한 중앙의 지시를 하부로 잘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던 「집행기구」에서 연원된 것이다. 다만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이제 막 이러한 요소들을 조금씩 가미하고 있을 뿐이다. 과거 규제행정시스템은 지방행정기관이 중앙을 대리한 하향적인 「통치기구」로서 존재한 결과에 따른 것이었다.분권화시대의바람직한 , 분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법학행정레포트 ,
본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이란 어떤것인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방행정은 아직도 이러한 패러다임을 완전히 갖추고 있지 못하다.
앞에서 살펴 본 것처럼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지방행정 시스템은 정책을 입안하여 집행하고 스스로 평가하는 정책기구가 아니었다.
행정시스템 자체가 집행기구로 존재할 때, 그곳의 공무원은 고작해야 「서기형」의 특질을 벗어날 수가 없었다.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분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
Ⅰ. 관치 시대의 지방행정과 공무원의 역할 change(변화)
1. 통치시대의 지방행정과 권위주의적 공무원상
2. 지도행정 체제의 지방행정과 서기형 공무원 상
Ⅱ. 자치시대의 지방행정과 프로듀서형 공무원 상
Ⅲ. 신공공관리 체제 하의 기업가형 공무원 상
Ⅳ. 공무원이라는 직업으로 살아가는 길
Ⅴ. 맺는 말
따라서 행정정보는 관청의전유물이 아니라 주민과의 「공유물」이라는 인식에 입각하여 정보의 적극적인 공개·제공을 통하여 주민과 행정을 매개하도록 하는 「매개론적 홍보 체제」가 편성되어야 한다. 서기형 공무원의 최…(생략(省略))
Download : 분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hwp( 28 )
,법학행정,레포트
다.분권화시대의바람직한






본권화 시대의 바람직한 공무원상이란 어떤것인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처럼 지방자치단체가 명실공히 지방政府로서의 위상을 부여받고, 이러한 지방政府가 「문제제기형 홍보체제」를 구축할 때에 주민과 지방政府의 관계도 비로소 「납세자와 봉사자」의 관계로 성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입장에서 이루어지는 정보공개·제공은 그것이 사회교육적 계몽형 홍보에 머무르는 것을 지향하고, 「문제제기형 홍보」를 지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