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中國어교재편찬원칙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2 07:46
본문
Download : [논문] 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hwp
특히 `漢語敎科書`는 어법을 중심으로 하여 어법과 본문이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중국(中國)어교재편찬원칙고찰
1)
차 례
Ⅰ. 머리말
Ⅱ. 교재편찬회고
Ⅲ. 교재편찬의 주요원칙
Ⅳ. 맺음말
Ⅰ. 머리말
외국어교재는 외국어를 배우려는 학생이나 가르치는 교사 모두에게 중요한 도구다. 본 고에서는 중국(中國)의 대외한어교학교재의 편찬상황과 원칙을 고찰하고, 외국인으로서 중국(中國)어교재 편찬에 어떠한 구체적인 원칙들이 계발되어야 하며 어떠한 문제점(問題點)이 있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이는 이전의 전통적인 어법중심의 학습법에 비해 한 단계 발전한 것이지만, 체계는 역시 기본구문과 반복적인 교체연습을 통한 어법지식을 학습시키는 것이므로 여전히 문법이라는 형식에 치우쳐서 언어의 의사소통이라는 기능을 간과한 점이 있다 또한 반복연습에 많은…(skip)
다.
Ⅱ. 교재편찬회고
중국(中國)의 대외한어교학교재의 편찬은 1950년대이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58년 출판된 <漢語敎科書>을 처음 으로 한 5,60년대 교재편찬 경향이다. 왜냐하면 교재는 학습의 기본내용을 결정하고 교사의 교학활동과 학생의 학습활동의 근거가 되며, 학습목적과 학습원칙 및 학습방법을 반영하기 때문일것이다 중국(中國)어학습에 있어서도 교재는 학습성패에 매우 긴밀한 effect(영향) 을 미치므로 교재편찬에는 기본적인 원칙들이 세워지고 이들이 체계적이고도 자연스럽게 내용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순서
[논문] 中國어교재편찬원칙고찰
Download : [논문] 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hwp( 94 )
논문,중국어교재편찬원칙,인문사회,레포트
[논문] 中國어교재편찬원칙고찰
설명
![[논문]%20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C%A4%91%EA%B5%AD%EC%96%B4%EA%B5%90%EC%9E%AC%ED%8E%B8%EC%B0%AC%EC%9B%90%EC%B9%99%EA%B3%A0%EC%B0%B0_hwp_01.gif)
![[논문]%20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C%A4%91%EA%B5%AD%EC%96%B4%EA%B5%90%EC%9E%AC%ED%8E%B8%EC%B0%AC%EC%9B%90%EC%B9%99%EA%B3%A0%EC%B0%B0_hwp_02.gif)
![[논문]%20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C%A4%91%EA%B5%AD%EC%96%B4%EA%B5%90%EC%9E%AC%ED%8E%B8%EC%B0%AC%EC%9B%90%EC%B9%99%EA%B3%A0%EC%B0%B0_hwp_03.gif)
![[논문]%20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C%A4%91%EA%B5%AD%EC%96%B4%EA%B5%90%EC%9E%AC%ED%8E%B8%EC%B0%AC%EC%9B%90%EC%B9%99%EA%B3%A0%EC%B0%B0_hwp_04.gif)
![[논문]%20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C%A4%91%EA%B5%AD%EC%96%B4%EA%B5%90%EC%9E%AC%ED%8E%B8%EC%B0%AC%EC%9B%90%EC%B9%99%EA%B3%A0%EC%B0%B0_hwp_05.gif)
![[논문]%20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C%A4%91%EA%B5%AD%EC%96%B4%EA%B5%90%EC%9E%AC%ED%8E%B8%EC%B0%AC%EC%9B%90%EC%B9%99%EA%B3%A0%EC%B0%B0_hwp_06.gif)
[논문] 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 , [논문] 중국어교재편찬원칙고찰인문사회레포트 , 논문 중국어교재편찬원칙
레포트/인문사회
중국(中國)어교재편찬원칙고찰
Ⅰ. 머리말
외국어교재는 외국어를 배우려는 학생이나 가르치는 교사 모두에게 중요한 도구다. 왜냐하면 교재는 학습의 기본내용을 결정하고 교사의 교학활동과 학생의 학습활동의 근거가 되며, 학습목적과 학습원칙 및 학습방법을 반영하기 때문일것이다 중국(中國)어학습에 있어서도 교재는 학습성패에 매우 긴밀한 effect(영향) 을 미치므로 교재편찬에는 기본적인 원칙들이 세워지고 이들이 체계적이고도 자연스럽게 내용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중국(中國)의 대외한어교학교재의 편찬상황과 원칙을 고찰하고, 외국인으로서 중국(中國)어교재 편찬에 어떠한 구체적인 원칙들이 계발되어야 하며 어떠한 문제점(問題點)이 있는지도 살펴볼 것이다.
Ⅱ. 교재편찬회고
중국(中國)의 대외한어교학교재의 편찬은 1950년대이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1958년 출판된 `漢語敎科書`을 처음 으로 한 5,60년대 교재편찬 경향이다. 특히 <漢語敎科書>는 어법을 중심으로 하여 어법과 본문이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비교적 실용적인 중국(中國)어 어법교학의 체제를 갖출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어법중심의 교학 교재는 학생이 중국(中國)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기보다는, 문법중심의 학습으로 인해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혼란을 야기시키는 문제점(問題點)을 가지고 있었다고 평가된다
두 번째 단계는 1972년 출판된 <基礎漢語>를 처음 으로 한 70년대 교재편찬 경향이다. 이 교재는 어법을 간략히 하고 각과마다 모범구문을 제시하여 구문중심의 반복적인 대체연습을 통하여 구문에 대한 어법을 이해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