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집어 말하기와 바로잡아 읽기 - 채만식의 치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9 20:02
본문
Download : 뒤집어 말하기와 바로잡아 읽기 - 채만식의 치숙.hwp
즉 `멸시와 조롱을 퍼부을 수 있`으려면 독자는 자신의 안목을 두 가지 방향으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된다.` 악의 징계와 우행의 폭로를 위해서 동원하는 방법을 소설에 국한하여 본다면 민현기 교수의 다음과 같은 설명(explanation)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풍자 소설은 세계의 진상을 직접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왜곡된 거울을 통해서 보여준다.Kn100154_채만식의 치숙을 읽고 , 뒤집어 말하기와 바로잡아 읽기 - 채만식의 치숙감상서평레포트 ,
● 문학작품에 다가가기
● 풍자적 어법 - 겨자 맛
● <치숙> - 소설형식의 새로움
● 형식과 의식의 관계
● 한 장면의 독백 - 소설 한 편
● 조카가 한 말의 의미
● 운명론에 빠진 식민지 사람들의 말씨
● 소설 담론의 이편과 저편
풍자의 목적은 다분히 도덕적인 의미를 띤다.` `왜곡된 거울`에 비친 세계상을 바로 보기 위해서 독자는 거울을 바로잡는 지적 긴장을 지속해야 한다.
순서
Kn100154_채만식의 치숙을 읽고






Download : 뒤집어 말하기와 바로잡아 읽기 - 채만식의 치숙.hwp( 77 )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다.좋은 참고 자료로 사용하시고 필요하신분께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채만식의 풍자소설 <치숙>을 소설의 언어적 특성에 주목하여 정리한 글입니다. 왜곡된 거울에 비친 현실을 정확히 보아야 하고, 그것을 바로잡아 보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풍자 소설의 진미를 맛볼 수 있다
<치숙> - 소설형식의 새로움
채만식은 한국 유일의 풍자 작가라는 평을 받을 만큼 풍…(skip)
뒤집어 말하기와 바로잡아 읽기 - 채만식의 치숙
설명
좋은 참고 자료로 사용하시고 필요하신분께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풍자는 악의 징계와 우행(愚行)의 폭로라는 두 개의 초점을 가진 타원형의 풍자세계의 궤도 위를 왕래한다.
채만식의 풍자소설 <치숙>을 소설의 언어적 特性에 주목하여 정리(arrangement)한 글입니다. 독자가 소설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에 멸시(蔑視)와 조롱(嘲弄)을 퍼부을 수 있도록 고의적으로 배경과 인물의 성격을 왜곡(歪曲)시킨다. 서양의 어느 학자는 풍자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그것은 진지한 것과 경박한 것, 아주 사소한 것과 매우 교훈적인 것 사이를 왕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