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0 03:40
본문
Download :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hwp
1933년 10월에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여 발표할 때까지 사용된 그동안의 우리말 표기 방식은 표음주의 표기였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 맞춤법’도 1933년 10월에 조선어학회가 마련한 …(drop)
제,장,국어,생활,실제,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인문사회레포트 , 제 장 국어 생활 실제
레포트/인문사회
다.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설명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Download :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hwp( 37 )






제 7장 국어 생활의 실제
1. 한글 맞춤법
문자로서의 한글의 역사(歷史)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처음 된다 훈민정음에 의한 표기는 비公式(공식)적인 언문으로 불리다가 갑오경장(1894)을 계기로 公式(공식)적인 국문으로 전환되면서, 국문을 공용하기 위한 철자법을 제정할 피료썽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주시경 선생부터 형태주의 표기에 의한 뜻을 밝혀 적는 방식이 정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