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方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18 02:27본문
Download :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방안을 제시하시오.hwp
한국어의 경음은 중국(China)어의 무기음과 비슷하고, 격음은 유기음과 비슷하다. 또한 조음방법에 활음이 있으며, 기의 세기가 아닌 성대 진동의 유무와 기식의 유무에 따라 분류된다(참고자료(資料) 4).
중국(China)어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발음할 때, 조음위치는 중국(China)어가 오히려 한국어보다 다양하기 때문에 크게 어려움이 없다.
조음방법 면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가 기의 세기에 따라 ‘평음경음격음’으로 나누어지는 것과는 달리, 중국(China)어는 기식의 유무에 따라 ‘유기무기’로 나누어진다. 이에 중국(China)어권 화자들은 평음 발음에 어려움을 느낀다. 최근에는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 혹은 중국(China)을 뒤흔든 한류열풍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참고자료(資料) 1). 또한 한국에서도 중국(China)인 교환학생이 전체 외국인 교환학생의 70%를 차지하고(참고자료(資料) 2), 중국(China)인의 국제결혼 비율도 전체 국제결혼의 70%를 웃도는 등 중국(China)인들의 한국어 수요가 늘어나고 있따 이에 중국(China)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方案) 마련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따
1.2 한국어와 중국(China)어의 자음체계 대조
한국어의 자음은 19개이며,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치조음경구개음연구개음후음으로, 조음방법에 따라 장애음(파열음마찰음파찰음)공명음(비음유음)으로, 장애음은 다시 기의 세기에 따라 평음경음격음으로 나누어진다(참고자료(資料) 3). 이에 반해 중국(China)어의 자음은 24개로,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했을 때 한국어에 없는 순치음치음권설음이 존재하며 후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중국(China)어의 비음 /n/은 한국어의 /ㄴ/보다 비음성이 강하기 때문에, 비음을 약하게 발음하도록…(To be continued )
Download :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방안을 제시하시오.hwp( 91 )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方案을 제시하시오
순서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언어권에서,발음할,수,없,한국어,자음,무엇인지를,제시하고,이를,교육시킬지,그,제시하시오,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다만 /ㅎ/발음 시에, 연구개음인 중국(China)어의 /h/과는 달리 성문에서 발음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레포트/인문사회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方案을 제시하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방안을 제시하시오 ,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는 한국어의 자음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어떻게 교육시킬지 그 방안을 제시하시오인문사회레포트 ,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 특정 언어권에서 발음할 수 없 한국어 자음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이를 교육시킬지 그 제시하시오
중국(China)어권 학습자를 위한 종성 /ㄹ/ 발음 교육 방안(方案)
1. 서론
1.1 중국(China)어권 학습자와 한국어
지리상으로 한국과 가까운 중국(China)은 이전부터 한국과 많은 文化적경제적 교류를 해왔고, 언어의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