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8 11:58
본문
Download : 협동학습_2095714.hwp
Download : 협동학습_2095714.hwp( 83 )
협동학습의속성 기본
협동학습
협동학습에 대한 글입니다. 주제에 대해 발표시킬 때도 한번에 한 명씩 발표하는 게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둘씩 짝지어 나누게 함으로써 모두가 동시에 발표하는 것이다. 토의나 필기를 할 때도 동시에 처음 하고 동시에 마치는 것이다. 질문이 있을 때에도 손을 들고 선생님이 오시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그룹 동료에게 즉각적으로 질문하고 해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긍정적으로 상호의존을 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9가지 방법이 있다
① 목표(goal) 공유하기 : 소그룹 목표(goal)가 달성됐을 때 자신의 목표(goal)가 달성됨
② 보상/격려하기 : 공동 Task 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 보상함
③ 정체성 공유하기 : 소그룹 이름, 구호, 깃발, 노래, 주민등록증 등을 활용
④ 외부의 적 공유하기 : 다른 소그룹간의 경쟁 유도
⑤ Task 분담하기 : 공동Task 에 대한 …(투비컨티뉴드 )
다.
설명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동시동작`과 `동시멈춤`이 이루어져야 한다.협동학습의특성기본 , 협동학습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협동학습에 대한 글입니다. 왜냐하면 학습 구조 자체가 학습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상호의존이란 `다른 사람의 성과가 나에게 도움이 되고 나의 성과가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게 하여 각자가 서로 의지하는 관계로 만드는 것`이다. 즉, 학습 처음 과 마침을 교사가 동시에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족한 것은 별도의 시간을 주거나 숙제로 부과해서 일부 때문에 전체 진행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 data(자료)를 배분할 때 교사가 전체 학생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이 아니라 각 소그룹의 data(자료) 담당자가 자기 그룹에게 나누어주는 것이다. 또한 교사가 질문을 던져 한사람씩 발표하는 것보다 전체가 질문에 대하여 대답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하여 수업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아이들 스스로 시간에 따라 자신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2) 학습집단 : 긍정적인 상호의존
협동학습에서는 학습집단 안에 자연스럽게 협동하여 학습 목표(goal)를 이루도록 만들어 준다. 물론 하던 것을 다 마치지 못했어도 그 상태로 정지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