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 primus8 | primus.co.kr report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 primus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8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22:05

본문




Download :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hwp




입학시험의 상대성은 자격평가의 기능을 상실하고 정원 경쟁으로 일관해 온 것을 의미한다.
2) 선발기능
시험은 상급학년 진학 또는 상급학교 진학을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교육사회학의우리나라의교육선발 ,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다.

4. 상급학교에 의한 선발
우리나라의 경우 교육선발은 상급학교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급학교가 자체의 입학시험을 관리하면, 하급학교는 상급학교의 지배를 받게 된다 이는 하급학교가 그 단계의 교육을 주체적으로 결정하여 실시할 수 없게 하므로 교육의 비민주성을 초래하게 된다


Ⅱ. 시험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1) 학업성취의 확인과 future 학습의 예언
교수활동의 종결단계에 실시하여 교육의 결과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의 future 학습을 예측하는 기능이다.
4) 경쟁촉진기능
상대적 기준으로 학생을 판정하고 이에 근거해서 학생을 선발하는 …(생략(省略))

교육사회학의우리나라의교육선발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에 대한 자료입니다. 상대적 평가는 평가 기준을 질적으로 단순화시켜 multiple choice 평가가 지배적으로 활용되게 한다.

Download :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hwp( 63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Ⅰ.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1. 입학단계에서의 선발
2. 집중선발
3. 상대적 경쟁선발
4. 상급학교에 의한 선발

Ⅱ. 시험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1. 시험의 교육적 기능
2. 시험의 사회적 기능

Ⅲ. 교육과 사회평등(평등화 기여론)
1. 헤비거스트의 연구(기술기능theory )
2. 블로와 던컨(Blau and Duncan)의 직위획득 모형
3. 인간자본론의 입장

Ⅳ. 인간자본론에 대한 비판 - 노동시장 분단론
1. 기본 입장
2. 노동시장의 분단과 교육의 effect
3. 인적 特性에 따른 discrimination과 교육의 effect
4. 結論

Ⅴ. 교육의 불평등 기여론
1. 보울스와 진티스(Bowles and Gintis)의 theory
2. 카노이(Carnoy)의 analysis
3. 라이트와 페론(Wright and Perrone)의 연구

Ⅵ. 교육의 보장적 평등
1. 보장적 평등의 등장
2. 우리나라의 교육기회 보장정책

Ⅶ. 교육의 과정적 평등
1. 교육의 과정적 평등 개념(槪念)
2. 교육조건 평등관에 반론- 콜맨보고서
3. 한국의 고교평준화정책


Ⅷ.. 교육의 결과적 평등
1. 결과적 평등 개념(槪念)의 등장 배경
2 결과적 평등의 개념(槪念)
3. 보상적 평등주의
4. 교육결과의 평등을 위한 보상적 평등정책





Ⅰ.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1. 입학단계에서의 선발
교육선발은 입학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매 학년 진급과 각급 학교 졸업단계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한국은 진급선발과 졸업선발 없이 입학단계에서의 선발만 실시하며 고등학교와 대학입학 선발만 있다

2. 집중선발
교육선발이 분산되어 있지 않고 한 시점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한국의 특징이다. 최근 대학입시의 경우 수시선발을 도입하는 등 집중선발의 형식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3. 상대적 경쟁선발
우리나라의 선발은 절대적 기준 평가에 의한 자격 선발을 하지 않고 상대적 성적으로만 학생을 평가함. 상대적 석차에 의한 선발은 학생간의 경쟁을 조장하며, 스스로 학습목표(目標)나 삶의 목표(目標)를 정할 수 없게 하여 자아정체감 형성이 어렵게 하여 정신적 불안과 타인에 대한 공격적 성격을 지니게 한다.




교육사회학의%20우리나라의%20교육선발_hwp_01.gif 교육사회학의%20우리나라의%20교육선발_hwp_02.gif 교육사회학의%20우리나라의%20교육선발_hwp_03.gif 교육사회학의%20우리나라의%20교육선발_hwp_04.gif 교육사회학의%20우리나라의%20교육선발_hwp_05.gif 교육사회학의%20우리나라의%20교육선발_hwp_06.gif


교육사회학의 우리나라의 교육선발에 대한 입니다.
3) 최저학습수준의 제시
시험은 학습자에게 최저 학습목표(目標)를 지시해 줌과 동시에, 그 목표(目標)에 도달하고자 하는 동기를 촉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체 20,17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