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행정학의 問題點과 改善해결해야할문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해결해야할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0 13:39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행정학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과제).hwp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부족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기업인이나 진학 지도를 담당하는 고교교사들까지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리그스가 중앙공무원연수원에 와서 강의를 한 것이 1956년의 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계성의 문제가 지금까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또 학문 자체로 볼 때도 아직까지 토착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발전과정에서 볼 때 외국 theory(이론)을 경험적인 반성 없이 검증이나 test(실험) 을 거치지 않고 무差別하게 紹介하는 과정에서도 역시 정체성의 문제는 계속 남아 있다아
세 번째로는 행정학의 정당성이 미약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그동안 자유당시대에서…(To be continued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실험결과/기타
다.
우리가 두 번째로 지니고 있는 문제점(問題點)과 반성은 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의 위기이다.
순서
우리나라,행정학,문제점과,개선,전망,한국,행정학,문제와,기타,실험결과
우리나라 행정학의 問題點과 改善해결해야할문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해결해야할문제)
우리나라 행정학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과제) , 우리나라 행정학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과제)기타실험결과 , 우리나라 행정학 문제점과 개선 전망 한국 행정학 문제와
설명
Download : 우리나라 행정학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과제).hwp( 11 )
우리나라 행정학의 問題點과 改善해결해야할문제 및 전망(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해결해야할문제)
우리나라 행정학의 문제점(問題點)과 改善(개선) project 및 展望(전망) (한국 행정학의 문제와 해결project)
한국행정학의 문제점(問題點)과 改善(개선) project
I. 반성 및 문제점(問題點)
행정학의 문제점(問題點)을 알아보면,
첫째, 학문의 역사(歷史)가 짧다. 학부수준으로 볼 때 법학적 성격이 아닌 사회과학적 성격을 지닌 행정학과가 제일 먼저 설립된 곳은 연세대학교이다. 일반사회에서는 행정학을 법학의 일부로 보는 경향이 있다아 이것은 해방 직후부터 법과대학 안에 행정학과가 같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에도 기인한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는 이 점에서 전국적으로 볼 때 한국행정학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한국의 행정학 역사(歷史)만 짧은 것이 아니라 미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아 미국에서 행정학의 학문적 출발을 1887년 윌슨(W. Wilson)의 논문 `행定義(정의) 연구`로 잡고 있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아 이 논문에서는 행정은 정치와 분리되어야 하며 행정학의 독자적 영역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행정학의 학문적 독자성을 강조하였는바, 미국에서도 그 역사(歷史)가 짧다 아니할 수 없다. 행정학과 인접학문 간의 구분이 모호하고 사회적인 인식도 부족하다. 행정학의 교과서로서는 정인흥 교수가 1956년에 쓴 것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