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由來 / I. 지역 사회의 특성1). 용인시 기흥구의 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7 00:38
본문
Download :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유래.hwp
Download :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유래.hwp( 65 )
순서
I. 지역사회의 특성1).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유래연혁1985년10월...
I. 지역사회의 특성1).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由來연혁1985년10월...
[인문사회]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由來 / I. 지역 사회의 특성1). 용인시 기흥구의 연





I. 지history회의 特性1).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origin연혁1985년10월1일- 기흥면이 기흥읍으로 승격됨1996년3월1일- 용인군이 도농복합형태의 시로 설치2000년9월1일- 구성면에서 구성읍으로 승격됨2005년10월31일- 기흥읍과 구성읍이 기흥구로 승격기흥구 origin기흥은 고려시대의 용구현과 조선시대의 용인현에 속해있던 역참지역의 하나로써 중요한 교통거점으로서의 역할이 주어졌던 고장으로, 1914년4월1일 개편당시 지내면의 영통리지역과 기곡면 일원을 합치고 구흥면과 내읍삼면 일부를 합친 지역으로서 기곡에서의 첫 글자와 구흥에서의 끝 글자를 합쳐서 기흥(器興)이라 하였다.구 읍·면·행정동관할구역(법정리(整理) , 동) 기흥구器興區Giheung-gu신갈동新葛洞Singal-dong. 신갈동新葛洞Singal-dong. 하갈동下葛洞Hagal-dong. 영덕동靈德洞Yeongdeok-dong구갈동舊葛洞Gugal-dong상갈동上葛洞Sanggal-dong. 상갈동上葛洞Sanggal-dong. 보라동甫羅洞Bora-dong. 지곡동芝谷洞Jigok-dong기흥동器興洞Giheung-dong. 공세동貢稅洞Gongse-dong. 고매동古梅洞Gomae-dong서농동書農洞Seonong-dong. 농서동農書洞Nongseo-dong. 서천동書川洞Seocheon-dong구성동駒城洞Guseong-dong. 언남동彦南洞Eonnam-dong. 청덕동淸德洞Cheongdeok-don...
인문사회 용인시 기흥구의 연혁과 유래 / I. 지역 사회의 특성1. 용인시 기흥구의 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다.구성은 고구려 시대의 구성에서 origin된 용인시 최초의 행정지명으로서 고려 시대에 용구 조선시대 태종 13년(1413년)에 처인현과 용인현을 병합하여 용인현이라 하고 현의 처소를 구성에 두었으며, 1914년 읍내와 동변, 서변, 수변의 3개면을 합하여 읍삼면이라 개칭하고 1931년 고호(古號)인 구성면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 지역적 特性(기흥구 관할구역)기흥구는 신갈동, 구갈동, 상갈동, 기흥동, 서농동, 구성동, 마북동, 어정동, 보성동 의 총 9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