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01 01:49본문
Download :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hwp
※ 참 고 ※
- 네이버 지식인
- 네이버 백과사전
- http://cafe.naver.com/08korea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1
설명
카페인,추출과,분리,공학기술,레포트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순서
다. 일단, 홍차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시킨 홍차물에서 카페인만을 용매에 녹여 그 용매를 증발시켜 카페인만을 추출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비커에 받는 과정에서 약간의 홍차액이 섞였는데, 이것을 휴지를 사용해 빨아들였는데 그 과정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한 상당히 빨아들여졌다. 또 CaCO₃를 넣는 다른 이유는, 홍차에 소량 들어있는 크산틴(Xanthinen)을 침전시키기 위해서이다. 반대로, 순수한 카페인의 녹는…(생략(省略)) 점과 차이가 많이 난다면, 추출한 카페인은 불순물이 많이 포함된 것이다. 크산틴은 약산이므로 염기인 CaCO₃와 반응하여 침전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추출한 카페인의 녹는점을 측정(測定) 하는 것이다.
② 홍자 한 봉지에 포함된 카페인의 양
홍차 한봉지 잎의 질량 : 1.657g
사용한 홍차 봉지의 수 : 4개
홍차 잎의 총 질량 : 6.628g (=1.657g 4 )
추출한 카페인의 질량 : 0.241g ( = 45.644g - 45.403g)
(삼각플라스크 45.403g, 카페인+삼각플라스크 45.644g)
홍차 한 봉지에 포함된 카페인의 질량 : 0.060g ( = 0.241g / 4)
홍차에 포함된 카페인의 함량 (%) : 3.62 % ( = (0.060 / 1.657) 100)
◎생각해 볼 사항◎
① CaCO3를 사용하는 이...
5.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2009141087 한재민
◎experiment(실험) 결과◎
① 추출한 카페인의 색깔
-원래 카페인의 색깔은 무색이나, 우리가 추출한 카페인의 색깔은 약간 연두색 빛이 났다.
5)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손에 묻지 않도록 조심하고, 남은 용매는 반드시 폐수통에 버린다. 그런데 우리 조는 다른 조보다 카페인의 수득율이 낮았다.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공학기술레포트 , 카페인 추출과 분리
Download :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hwp( 24 )
레포트/공학기술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_hwp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5B1%5D.%EC%B9%B4%ED%8E%98%EC%9D%B8%EC%9D%98%20%EC%B6%94%EC%B6%9C%EA%B3%BC%20%EB%B6%84%EB%A6%AC_hwp_01_.gif)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_hwp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5B1%5D.%EC%B9%B4%ED%8E%98%EC%9D%B8%EC%9D%98%20%EC%B6%94%EC%B6%9C%EA%B3%BC%20%EB%B6%84%EB%A6%AC_hwp_02_.gif)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_hwp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5B1%5D.%EC%B9%B4%ED%8E%98%EC%9D%B8%EC%9D%98%20%EC%B6%94%EC%B6%9C%EA%B3%BC%20%EB%B6%84%EB%A6%AC_hwp_03_.gif)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_hwp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5B1%5D.%EC%B9%B4%ED%8E%98%EC%9D%B8%EC%9D%98%20%EC%B6%94%EC%B6%9C%EA%B3%BC%20%EB%B6%84%EB%A6%AC_hwp_04_.gif)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_hwp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5B1%5D.%EC%B9%B4%ED%8E%98%EC%9D%B8%EC%9D%98%20%EC%B6%94%EC%B6%9C%EA%B3%BC%20%EB%B6%84%EB%A6%AC_hwp_05_.gif)
![5[1].카페인의 추출과 분리_hwp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5B1%5D.%EC%B9%B4%ED%8E%98%EC%9D%B8%EC%9D%98%20%EC%B6%94%EC%B6%9C%EA%B3%BC%20%EB%B6%84%EB%A6%AC_hwp_06_.gif)
5. 카페인의 추출과 분리
2009141087 한재민
◎experiment(실험) 결과◎
① 추출한 카페인의 색깔
-원래 카페인의 색깔은 무색이나, 우리가 추출한 카페인의 색깔은 약간 연두색 빛이 났다.
4) 메틸렌 클로라이드는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반드시 후드 안에서 증발 시킨다. 오차의 요인을 생각해보니, 먼저 처음에 홍차 티백에서 홍차 속의 카페인을 모두 짜내지 않은 채 홍차 티백을 꺼내서였다. 누리망 을 찾아본 결과, 불순물이 포함되어 연두색 빛이 난다고 써져 있었다. 누리망 을 찾아본 결과, 불순물이 포함되어 연두색 빛이 난다고 써져 있었다.
② 홍자 한 봉지에 포함된 카페인의 양
홍차 한봉지 잎의 질량 : 1.657g
사용한 홍차 봉지의 수 : 4개
홍차 잎의 총 질량 : 6.628g (=1.657g 4 )
추출한 카페인의 질량 : 0.241g ( = 45.644g - 45.403g)
(삼각플라스크 45.403g, 카페인+삼각플라스크 45.644g)
홍차 한 봉지에 포함된 카페인의 질량 : 0.060g ( = 0.241g / 4)
홍차에 포함된 카페인의 함량 (%) : 3.62 % ( = (0.060 / 1.657) 100)
◎생각해 볼 사항◎
① CaCO3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CaCO₃를 사용하는 이유는 염석 효과(效果)(NaCl) 때문일것이다 유기층과 수층 사이에서 수층을 염으로 포화시켜줌으로써, 유기물 분배가 유기층으로 더욱 크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처리를 위해서이다. 이 experiment(실험)은 생각 보다 복잡하였다. 만약, 측정(測定) 한 카페인의 녹는점이 순수한 카페인의 녹는점과 비슷하다면 추출한 카페인은 순도가 높은 것이다. 그래서 카페인의 수득율이 낮아졌고, 순수한 카페인을 얻는 데 오차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의 및 참고 사항◎
1) 뷰흐너 깔대기를 이용해 홍차 물을 거를 때, 찌꺼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여러번 거름 종이를 바꿔준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가의 기기를 필요로 하는 방법이다.
② 추출한 카페인의 순도를 알아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순도는 기기적으로는 HPLC(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GC(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여기서 peak가 하나 이상 나오면 불순물이 섞여 있는 것이다.
2)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NaCl 용액을 넣고 분별깔대기를 흔들 때는, 너무 세게 흔들면 에멀젼이 생기므로 가볍게 흔들어준다.
3) 뷰흐너 깔대기를 이용해 건조제를 걸러낼 때에는, 감압 플라스크 안의 남은 물기를 완전히 제거 한 후 필터 하도록 한다.
◎토의 및 토론◎
이번 experiment(실험)은 홍차 속에 있는 카페인만을 추출해 분리해 내는 experiment(실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