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용담유사 > primus1 | primus.co.kr report

용담유사 > primus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1

용담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09:41

본문




Download : 용담유사.hwp




이와 같은 면으로 볼 때에 ‘용담유사’라는 제명은 곧 ‘용담 선생께서 남기신 노래’라는 의미가 된다고 하겠다.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순서


이 ‘용담’이라는 말은 곧 수운 선생을 지칭하는 말이며, ‘유사’는 말 그대로 선생님께서 남기신 노래라는 의미이다. <용담유사>, 윤석산, 동학사, 1999, p 257~258

.

Download : 용담유사.hwp( 40 )


2. <용담유사>에 담긴 편명과 편수
용담유사
용담유사
본래 이 ‘용담유사’를 초기에는 ‘유사팔편’또는 ‘가사팔편’이라고 불렀다. 즉, 수운 선생이 ‘가사’라는 조선조의 전통적인 문학 양식 안에 자신의 가르침을 담은 것이라고 하겠다.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는 동학의 교조인 수운 최제우 선생이 쓴 동학의 중요 경전이며, 동시에 가사로 분류되는 문학 작품이다. 그러던 것을 동학의 2세 교조인 해월 최시형 선생이 신사년에 충청북도 단양군 남면 샘골에 있는 여규덕 이라는 도인의 집에 간행소를 차려놓고 일 책 일 권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여, 오늘과 같은 이름인 ‘용담유사’라는 제명을 붙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따
.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9637_01_.jpg 용담유사-9637_02_.jpg 용담유사-9637_03_.jpg 용담유사-9637_04_.jpg 용담유사-9637_05_.jpg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용담유사

본론
용담유사
설명

다. 제2세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1881년(고종 18) 6월 충북 단양군 남면 천동(泉洞) 여규덕(呂圭德)의 집에서 간행케 한 것이 있고(1책, 필사본), 1932년 《룡담유》라는 headline(제목)으로 김주희(金周熙) 등의 동학가사를 더하여 한데 엮어서 인간(印刊:1책, 37장)한 것이 있따 서양세력의 동점(東漸)에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이에 맞서기 위한 정신자세로서 동학을 내세운다는 뜻이 주가 되어 있따 일반 민중과 부녀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한글 가사체(歌辭體)를 빌려 동학의 사상을 펼쳤는데, 형식이나 문체는 비록 고전 가사와 같지만 개화기의 문체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개화기 가사의 효시가 된다된다. 아래에서는 <용담유사>의 내용과 창작과정 및 그 성격에 대해 일부 다루어보겠다.

1. 제명에 관하여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용담유사

.



용담유사는 1860년(철종 11)에 지은 《용담가》 《안심가(安心歌)》 《교훈가(敎訓歌)》를 비롯, 1861년에 지은 《도수사(道修詞)》 《검결(劒訣)》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1862년에 지은 《권학가(勸學歌)》, 1863년에 지은 《도덕가(道德歌)》 《흥비가(興比歌)》 등 9편의 가사를 모아서 엮은 책이다.
전체 20,15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