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재료와 금형열처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8 12:48본문
Download : 금형재료와 금형열처리.hwp
이러한 금형용강을 이해하고 이 특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열처리를 행하여야 하며, 가열과 냉각의 중요성과 방법,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행해지는 진공열처리설비를 통한 열처리방법을 기술하였다.
금형의 대부분은 내마모성을 요구하므로 높은 경도가 얻어지는 강종을 사용하여 담금질/뜨임하고 있다아 따라서 금형의 수명이 짧은 것은 내마모성 문제가 原因이 된다 그러나 내마모성 문제는 없지만 사용중 파손이나 절손에 의해서 수명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담금질 온도가 높을수록, 뜨임온도는 낮을수록 높은 경도를 얻을 수 있다아 단, 고속도공구강과 같이 2차경화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540 ~ 570℃의 범위에서 최고경도가 얻어진다.금형재료와열처리 , 금형재료와 금형열처리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금형재료와 금형열처리.hwp( 97 )
1.금형용강의 이해
-금형용강의 구비조건
-금형용강의 종류
-탄화물의 역활
2.금형열처리의 이해
-금형열처리의 기본
-금형열처리의 체질
-가열온도와 유지시간
-냉각방법과 냉각속도
-뜨임
-열처리조건의 고려
3.진공열처리
-진공의 기초
-진공열처리로의 구비조건
-진공열처리의 실제
금형은 사용조건에 따라서 요구되는 성질이 다르므로 최적강종을 신중히 선정해야 한다.
금형의 종류에는 냉간프레스용, 냉간단조용, 열간단조용, 다이캐스팅용, 플라스틱용 등이 있으며, 요구하는 성질은 제각기 다르다. 또한 내충격성에 내마모성까지 더 높은 수준을 얻고자 할 때에는 보다 고급강종의 선택과 표면경화처리가 이용된다 열간단조용, 플라스틱 성형용 금형은 이러한 성질 외에 내열성, 내식성도 중요한 조건이 된다
①경도 : 금형의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경도이다. 또한 동일강종에서도 담금질시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나 가열유지시간, 뜨임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금형재료와열처리
금형재료와 금형열처리
순서
금형재료의 선택과 금형재료의 열처리로서 진공열처리의 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한 현장실무기술 안내자료(data).
설명
금형재료의 선택과 금형재료의 열처리로서 진공열처리의 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한 현장실무기술 안내자료.금형용강은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요구되고, 이를 위하여 합금성분이 첨가되며 합금성분은 탄화물로 존재하여 내마모성에 기여하게된다. 이러한 경우 내마모성이 다소 저하되더라도 내충격성을 얻기 위한 열처리가 필요하다. 이것은 각 강종에 함유되어 있는 합금원소의 종류와 양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금형용 강에 첨가되고 있는 합금원소 중에서도 Cr, W, Mo, V…(省略)
다. 예를들면 사용중 가열되는(금형의 온도가 올라가는) 금형에 탄소공구강을 이용할 경우, 금형의 경도가 낮아지면서 수명이 짧아져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금형의 종류와 요구되는 성질을 고려하고, 예상되는 사용수명을 고려하여 금형의 재료를 선정하여야 한다.
②내마모성 :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으면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 그러나 경도는 동일할 지라도 강종에 따라서 내마모성이 다르다. 강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담금질을 하게 되는데 담금질로 얻어지는 경도는 탄소량이 많은 강종일수록 높다.
금형용강은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요구되고, 이를 위하여 합금성분이 첨가되며 합금성분은 탄화물로 존재하여 내마모성에 기여하게된다된다. 이러한 금형용강을 이해하고 이 特性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열처리를 행하여야 하며, 가열과 냉각의 중요성과 방법,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행해지는 진공열처리설비를 통한 열처리방법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