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理論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理論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01 15:57
본문
Download :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hwp
3/ 무의식(unconsciousness)
수면 위에 보이는 빙산을 의식으로 표현한다면 무의식은 물 아래의 보이지 않는 영역으로, 개인 스스로가 전혀 의식하지 못하는 정신세계를 말한다. 이러한 무의식의 내용은 언어로 표현되기 어렵다. 다만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은 대상자가 최면상태에 있을 때의 암시 혹은 꿈이나 의식 없이 나오는 말이나 행동 등에 의해 표출된다
(2) 인간 정신활동의 에너지-리비도(libido)
리비도는 성적 본능을 가진 에너지, 즉 심리적 생리적 의미의 성적 에너지로 정신적 에너지 또는 본능 및 충동이며,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개인의 성격과 행동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influence(영향)을 미친다.
(3) 인간의 성격구조
프로이트(Freud)는 인간의 성격구조를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說明(설명) 하였다. 그렇다고 원초아가 모두 나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이트 이전까지 인류는 정신세계의 존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없었다. 우리가 표현하는 기음이나 슬픔, 그리고 분노 등은 원초아의 도움이 없이는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원초아를 억압하게 되면 기음이 없고 무기력하며 분노나 공격적 표현 등 자기주장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2/ 자아(ego)
인간은 출생 시 원초아의 지배를 강하게 받지만, 부모 또는 성장에 influence(영향)을 주는 많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가 발달하게 된다 자아는 현실원칙을 따르며 원초아의 욕구를 통제하고 인간의 성격을 지배하며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이트의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무의식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즉, 먹고 싶은 욕구, 성적 욕구, 공격적 욕구 등 참을성이 없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쾌락의 원칙을 따른다. 프로이트 이전까지 인류는 정신세계의 존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없었다.
정신분석理論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理論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정신이론과,사회복지실천,관계,정신이론,사회복지실천,적용,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Download :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hwp( 84 )
순서
정신분석理論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理論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과 사회복지실천
CONTENT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과 사회복지실천
I.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주요 개념(槪念)
1. 인간정신의 구성
1) 의식
2) 전의식
3) 무의식
2. 인간 정신활동의 에너지-리비도
3. 인간의 성격구조
1) 원초아(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ego)
II. 정신分析(분석)과 사회복지실천
1.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개입과정
1) 관계형성
2) 동일화
3) 정체감 형성
4) 자기이해
2.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개입기법
1) 전이의 해석
2) 역전이의 이용
3) 자유연상
4) 훈습
reference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과 사회복지실천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은 프로이드(Frued)에 의하여 창시되었다. 즉, 인간이 느끼는 감정이나 억압된 기억, 소망 등이 무의식 속에 저장되었다가 행동(분노, 갈등, 폭력 등)으로 표출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무의식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인간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특히 자아는 원초아의 본
_hwp_01_.gif)
_hwp_02_.gif)
_hwp_03_.gif)
_hwp_04_.gif)
_hwp_05_.gif)
_hwp_06_.gif)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정신분석이론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인문사회레포트 , 정신이론과 사회복지실천 관계 정신이론 사회복지실천 적용
다.
1/ 원초아(id)
원초아는 완전히 무의식적이며, 본능과 충동의 원천으로서 마음의 에너지 저장고이다. 이 reference(자료)에서는 프로이트의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주요 개념(槪念)과 발달과정, 그리고 사회복지실천과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상관관계에 대해 說明(설명) 하고자 한다. 정신分析(분석)은 불안신경증, 우울증이나 ...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과 사회복지실천
CONTENT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과 사회복지실천
I.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주요 개념(槪念)
1. 인간정신의 구성
1) 의식
2) 전의식
3) 무의식
2. 인간 정신활동의 에너지-리비도
3. 인간의 성격구조
1) 원초아(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ego)
II. 정신分析(분석)과 사회복지실천
1.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개입과정
1) 관계형성
2) 동일화
3) 정체감 형성
4) 자기이해
2.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개입기법
1) 전이의 해석
2) 역전이의 이용
3) 자유연상
4) 훈습
reference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과 사회복지실천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은 프로이드(Frued)에 의하여 창시되었다. 의식은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고, 냄새를 맡는 것 등 여러 감각을 인식하고 슬픔과 고통 등을 알 수 있는 것으로써 깨어 있을 때 작용하는 영역을 말한다.
I. 정신分析(분석)이론(理論)의 주요 개념(槪念)
(1) 인간정신의 구성
프로이트(Freud)는 민간의 정신구조가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성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1/ 의식(consciousness)
의식은 우리가 현재 느끼고 인식하고 있는 모든 경험과 감각을 일컫는다.
2/ 전의식(preconsciousness)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층에 있는 것으로 현재 의식하고 있지 않지만 언제든 주의집중하고 노력하면 이용…(생략(省略)) 가능한 기억이다. 정신分析(분석)은 불안신경증, 우울증이나 정신분열증 등 마음의 병이 무의식의 갈등에서 처음 한다는 것, 자신을 구속하고 人生(인생)을 불행에 이르도록 만드는 성격도 그 요인이 무의식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