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 primus2 | primus.co.kr report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 primus2

본문 바로가기

primus2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1:00

본문




Download :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hwp







의 기치를 세운 동기가 되었으며 신위는 그의 시학에 감동을 받아 43세 전 창작했던 자신의 작품들을 모두 불태우고 200여수의 시를 지으며 영물시(詠物詩)와 기행시를 많이 남겼다. 뿐만 아니라 그의 외가나 처가 또한 당대의 문벌이 높은 가계로서, 그의 장인 윤정(允亭)은 특히 서화에 능하였으며 문장에서도 정통했던 인물이다. 네 번째 시기는 아내와의 사별 후 인생의 무상감에 빠져 불교에 관심을 갖고 선승과 빈번한 교유를 통해 <도망 육절(悼亡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9212_01_.jpg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9212_02_.jpg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9212_03_.jpg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9212_04_.jpg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9212_05_.jpg

Download :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hwp( 70 )




삼절(三絶)이라는 말이 있다.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한수(漢叟), 호는 공이 어려서 일찍이 경기도 시흥의 자하(紫霞)산장에서 독서한 연유로 자하 혹은 경수당(警修堂) 등을 사용했다.
신위의 생애를 크게 다섯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라고 평하여 조선조 오백년 이래 제1인자로 일컬었다. 특히 북송 중기에 이르러 시·서·화가 동등하게 여겨지는 시서화일률사상(詩書畵一律思想) 등 문인화론(文人畵論)이 성립되면서 시서화 삼절이 가장 높이 숭상되었다. 김택영,『신자하시집(申紫霞詩集)』, p355, <자하연보(紫霞年譜)>. “자하의 그림은 시 다음이며 서는 그림의 다음이다. 이후 춘천부사를 파직당하나 오히려 정약용, 정학유, 김정희 등 많은 인사들과 여가를 틈타 고적(古蹟)을 찾으며 작시에 몰입하였다. 3가지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로 동진(東晋)의 고개지(顧愷之)는 재절(才絶)·화절(畵絶)·치절(癡絶)의 삼절이었으며, 당나라의 송령문(宋令文)은 서·화·용력(勇力)의 삼절, 정건(鄭虔)은 시·화·헌(獻)의 삼절로 통했다. 때로는 여기에 사물이 포함되기도 하는데 송도의 명기(名妓) 황진이(黃眞伊), 학자 서경덕(徐敬德), 박연폭포(朴淵瀑布)를 가리키는 송도삼절(松都三絶)이 있고,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인 어몽룡(魚夢龍)의 묵매(墨梅), 이definition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墨葡萄)를 삼절이라 부르기도 한다. 조선의 ‘두보(杜甫)’라고 불렸던 신위의 일생과 그의 문학을 포함한 예술 세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순조 11년 정3품에 오른 43세까지의 시기와 1812년 서장관으로 연행(燕行)과 춘천부사로 재임하여 보낸 18개월간의 시기, 특히 2번째 이 시기는 연행에서 청의 대학자인 옹방강(翁方綱)을 만나 유소입두(由蘇入杜) 소동파의 시를 배워 두보의 시에 들어선다는 의미



순서
설명
다. 소식(蘇軾)·미불(米芾)·문징명(文徵明)·동기창(董其昌) 등이 대표적인 시서화 삼절로 꼽히며, 우리나라에서는 신잠(申潛)·김제(金-)·이정(李霆)·이인상(李麟祥)·강세황(姜世晃)·신위(申緯)·김정희(金正喜) 등과 같은 선비화가들이 시서화 삼절로 일컬어졌다.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Ⅱ. 신위(申緯)의 생애와 저술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시조인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비롯하여 중시조 이후 문무(文武)에 혁혁한 공을 세워 대대로 국가에 공헌한 훌륭한 가문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가계의 성장 및 가문 배경은 신위의 성격과 문학 형성에 적지 않은 influence(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

.


.
이 가운데 신위는 조선조 한시문학에 있어서 최고봉을 점유한 5백년의 제일 대가로 시 뿐만 아니라 서화(書畵)에 있어서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청국과 일본에까지 널리 알려졌던 필묵의 천재였다. <잡서(雜書)> 50수, <동호(東湖)> 6수나 <관극절구(觀劇絶句)> 12수와 같은 작품들이 이 때 만들어진 것들이다.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1. 가계(家系)와 생애
자하 신위론 - 일대기 생애 저술 작품 세계


신위는 조선 영조 45년인 1769년 서울 소론(小論) 가문에서 출생하였다. 그러나 대개 삼절 하면 문인화가로서 시(詩)·서(書)·화(畵) 3가지를 겸비한 경우를 말한다.
Total 19,802건 1033 페이지
primus2 목록
번호 제목
4322
4321
4320
4319
열람중
4317
4316
4315
4314
4313
4312
4311
4310
4309
4308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primus.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