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3-04 19:43
본문
Download :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hwp
진보적인 견해를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목 차
1.서론
2. KNCC의 북한선교 노력의 history(역사)
(1) 88 선언까지
(2) 95년 통일 희년까지
(3) 2000년 합의문까지
3. 88 선언문
(1) 줄거리
(2) 의의
4. KNCC의 선교론
5. 선교 目標(목표)
6. KNCC의 북한선교 방법론
7. KNCC 북한선교론의 공헌
8. 結論: 비판과 해결해야할문제
참고서적:
1.서론
지금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는 북한 선교에 대한 견해를 정리(arrangement)하면 크게 4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따 첫째, 복음주의적 교회의 견해로서(한국기독교 총연합회의 견해도 여기에 포함되는데) 북한 선교론이 있따 비교적 보수적인 한국 교회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따 두 번째는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입장으로서 주로 평화통일론을 중심 주제로 한 포괄적이면서도 외교적인 선교론이다.
국내에서 통일논의의 활성화가 불가능했던 상황에서 그 길을 열어준 것은 WCC 국제문제위원회(CCIA)였다. 첫 번째 시기는 1981년부터 1988년 2월 ‘민…(skip) 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선언(88선언)’을 했던 때까지이다. 결과 1985년 2월19일 - 23일, 아시아기독교협의회가 주최한 ‘아시아 평화협의회’가 일본 오끼나와에서 개최되었다.
1981년 6월8-10일 “분단국에서의 그리스도의 고백”이라는 주제와 “죄의 고백과 새로운 책임”이라는 부제로 열린 제4차 한독교회협의회로부터 남북통일문제를 한국교회 선교의 해결해야할문제로 제시하고,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통일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위원회나 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 결의하였다. 그러나 government 당국이 민간차원의 통일논의를 봉쇄함에 따라 구체적인 사업을 전개하지 못하였다. 1986년 9월2-5일에는 WCC국제문제협의회가 주최한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관심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에 관한 세미나가 스위스 글리온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도잔소 선언이 계기가 되어 발표된 통일에 관한 한국교회의 첫 번째 formula입장이었다. 여기에 조선기독교도연맹의 대표단 5명과 KNCC 대표단 6명이 초청되어, 민족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한 기독교인의 만남을 가졌으며,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_hwp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A%B8%B0%EB%8F%85%EA%B5%90%20%EA%B5%90%ED%9A%8C%20%ED%98%91%EC%9D%98%ED%9A%8C(KNCC)%EC%9D%98%20%EB%B6%81%ED%95%9C%20%EC%84%A0%EA%B5%90%EB%A1%A0_hwp_01_.gif)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_hwp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A%B8%B0%EB%8F%85%EA%B5%90%20%EA%B5%90%ED%9A%8C%20%ED%98%91%EC%9D%98%ED%9A%8C(KNCC)%EC%9D%98%20%EB%B6%81%ED%95%9C%20%EC%84%A0%EA%B5%90%EB%A1%A0_hwp_02_.gif)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_hwp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A%B8%B0%EB%8F%85%EA%B5%90%20%EA%B5%90%ED%9A%8C%20%ED%98%91%EC%9D%98%ED%9A%8C(KNCC)%EC%9D%98%20%EB%B6%81%ED%95%9C%20%EC%84%A0%EA%B5%90%EB%A1%A0_hwp_03_.gif)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_hwp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A%B8%B0%EB%8F%85%EA%B5%90%20%EA%B5%90%ED%9A%8C%20%ED%98%91%EC%9D%98%ED%9A%8C(KNCC)%EC%9D%98%20%EB%B6%81%ED%95%9C%20%EC%84%A0%EA%B5%90%EB%A1%A0_hwp_04_.gif)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_hwp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A%B8%B0%EB%8F%85%EA%B5%90%20%EA%B5%90%ED%9A%8C%20%ED%98%91%EC%9D%98%ED%9A%8C(KNCC)%EC%9D%98%20%EB%B6%81%ED%95%9C%20%EC%84%A0%EA%B5%90%EB%A1%A0_hwp_05_.gif)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_hwp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D%95%9C%EA%B5%AD%EA%B8%B0%EB%8F%85%EA%B5%90%20%EA%B5%90%ED%9A%8C%20%ED%98%91%EC%9D%98%ED%9A%8C(KNCC)%EC%9D%98%20%EB%B6%81%ED%95%9C%20%EC%84%A0%EA%B5%90%EB%A1%A0_hwp_06_.gif)
레포트,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북한,선교론,기타,레포트
순서
다. 이 협의회는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이 북한교회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분단구조의 틀을 벗어나고자 하는 새로운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다음해 1985년 2월27-28일, KNCC 제34차 총회는 ‘한국교회 평화통일선언’을 채택 발표하였다. 일명 도잔소 협의회라고 알려진 모임이 이루어졌다.
[보고서]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기타레포트 ,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 KNCC 북한 선교론
레포트/기타
설명
[보고서]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Download : [레포트]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hwp( 75 )
한국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북한 선교론
목 차
1.서론
2. KNCC의 북한선교 노력의 history(역사)
(1) 88 선언까지
(2) 95년 통일 희년까지
(3) 2000년 합의문까지
3. 88 선언문
(1) 줄거리
(2) 의의
4. KNCC의 선교론
5. 선교 目標(목표)
6. KNCC의 북한선교 방법론
7. KNCC 북한선교론의 공헌
8. 結論: 비판과 해결해야할문제
참고서적:
1.서론
지금까지 진행되어 오고 있는 북한 선교에 대한 견해를 정리(arrangement)하면 크게 4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따 첫째, 복음주의적 교회의 견해로서(한국기독교 총연합회의 견해도 여기에 포함되는데) 북한 선교론이 있따 비교적 보수적인 한국 교회의 입장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따 두 번째는 한국 기독교 교회 협의회(KNCC)의 입장으로서 주로 평화통일론을 중심 주제로 한 포괄적이면서도 외교적인 선교론이다. 진보적인 견해를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따 세 번째는 모퉁이돌 선교회(1983년에 설립), 오픈 도어즈 선교회(대표:김성태) 등, 선교단체들의 견해로서 북한의 지하기독교인들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성경, 라디오 등을 보급하며, 남은 자를 굳게 하는 선교strategy을 가지고 북한선교를 추진해 오고 있다1). 네 번째는 통합측의 견해로서 보수 복음주의적 견해와 진보주의적 견해를 절충한 중도적 견해라고 볼 수 있따
우리는 본 소고에서 KNCC의 북한선교론을 기술하고자 한다2). 주요 자료(資料)는 KNCC가 발표한 `1988년 선언문`과 통일관계 자료(資料)들 그리고 김용복 교수가 발제한 “통일과 한국교회: 한반도 평화와 민족 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이라는 글을 중심하여 KNCC의 북한선교론을 기술하고자 한다3).
2. KNCC의 북한선교 노력의 history(역사)
(1) 88 선언까지
80년대 이후 KNCC의 북한선교의 노력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된다. 1984년 10월29일-11월 2일, WCC 국제문제위원회(CCIA)는 일본 도잔소에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정이협의회’를 개최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하여 세계교회가 공동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결의에 따라서 1982년 2월26일 서울 초동교회에서 열린 제31차 총회에서 ‘통일문제연구원 운영위원회’를 특별위원회로 신설할 것을 결의, 9월16일 각 교단 12명과 전문위원 4명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발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