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13 02:14
본문
Download :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hwp
..가실- 이 가실로 바뀌어 된 말
..간얼라- <갓얼라>가 간얼라로 바뀐 말. 얼라는 <어린아>가 <얼아-얼라>로 바뀌어 간 것
..간지깽이- <간지깨-애이>로 된 말. 부산에서 사물의 이름을 나타낼 때 뒷가지에 흔히 <앙이·앵이>를 붙인다.
3. 부산 방언의 어휘 및 문법
구체적으로 부산의 방언을 명사와 동사 부분을 예를 들…(skip) 어 자세히 알아보자.
3.1. 명사
..가부리- <가보리>가 변해서 생긴 말로 추정
..가새- <가위>의 옛꼴을 지닌 말이며 가시개는 <가시-개>로써 이루어진 말인것
같다.
방언조사
순서
Download :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hwp( 90 )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
_hwp_01_.gif)
_hwp_02_.gif)
_hwp_03_.gif)
_hwp_04_.gif)
_hwp_05_.gif)
_hwp_06_.gif)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에 대한 글입니다. 사실 언어의 파급현상에 있어서 아무리 강력한 언어중심지로부터 방산된 체계라 할 지라도 한 지역 안에서 이를 받아들여 사용하게 되면 진행 과정 중 파급지에는 독특한 또 다른 언어체계가 독자적으로 세워지기 마련이다.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2.2. 행정구역
김해와 부산은 구분되어져 있었으나, 기장은 동래부(현 부산시)의 속현으로 두 고장 사이에는 언어교류가 많았음을 예측할 수 있따
2.3. 경제적 교류
근래에 들어서는 김해 또한 경제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옛날에는 낙동강의 影響으로 교류가 어려웠다.
각 지역마다 세분화되는 현상은 계속 진행되고, 개개 언중들의 언어생활은 복잡하기 짝이 없다. . 굵직한 아웃라인을 그려 보는 것일 뿐이다.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에 대한 글입니다.방언조사 , 방언조사(부산방언에 대해서)법학행정레포트 ,
다. 기장지역 사람들은 동래장과 양산장을 많이 이용했고, 양산과 동래 사이에는 낮은 고개밖에 없었으므로 서로 교류가 잦았음을 알 수 있따
위 사실을 종합하여 부산방언구역을 부산·기장·양산·언양으로 나누어 보고싶다. 편의상 부산·기장·양산·언양을 부산방언으로 묶었지만 100% 일치되는 것은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