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20-1)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資料를 직접 수집ㆍ조사 하여 分析(분석)해 보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8 17:26
본문
Download :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hwp
글말이 입말이 가진 불편한 점을 깁기 위해 만들어졌다면, 전자말은 입말과 글말이 가진 불편한 점을 깁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6611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5B%ED%86%B5%EC%8B%A0%EC%96%B8%EC%96%B4%5D_%ED%86%B5%EC%8B%A0%EC%96%B8%EC%96%B4%EC%9D%98_%EC%8B%A4%ED%83%9C%EC%99%80_%EB%AC%B8%EC%A0%9C%EC%A0%90-6611_01_.jpg)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6611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5B%ED%86%B5%EC%8B%A0%EC%96%B8%EC%96%B4%5D_%ED%86%B5%EC%8B%A0%EC%96%B8%EC%96%B4%EC%9D%98_%EC%8B%A4%ED%83%9C%EC%99%80_%EB%AC%B8%EC%A0%9C%EC%A0%90-6611_02_.jpg)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6611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5B%ED%86%B5%EC%8B%A0%EC%96%B8%EC%96%B4%5D_%ED%86%B5%EC%8B%A0%EC%96%B8%EC%96%B4%EC%9D%98_%EC%8B%A4%ED%83%9C%EC%99%80_%EB%AC%B8%EC%A0%9C%EC%A0%90-6611_03_.jpg)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6611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5B%ED%86%B5%EC%8B%A0%EC%96%B8%EC%96%B4%5D_%ED%86%B5%EC%8B%A0%EC%96%B8%EC%96%B4%EC%9D%98_%EC%8B%A4%ED%83%9C%EC%99%80_%EB%AC%B8%EC%A0%9C%EC%A0%90-6611_04_.jpg)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6611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3/%5B%ED%86%B5%EC%8B%A0%EC%96%B8%EC%96%B4%5D_%ED%86%B5%EC%8B%A0%EC%96%B8%EC%96%B4%EC%9D%98_%EC%8B%A4%ED%83%9C%EC%99%80_%EB%AC%B8%EC%A0%9C%EC%A0%90-6611_05_.jpg)
1) 없애고 줄임
1) 은어(cant) 사용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資料를 직접 수집ㆍ조사 하여 分析(분석)해 보시오..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 하여 분석해 보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인간은 적어도 육천 년 전부터 글자를 만들어 써왔다고 한다. 인간은 한정된 소리로 수많은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받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말은 원래 소리라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삶이 점점 복잡해지고 생각이 발달하면서 그 불편함도 드러나게 되었다. 이러한 전자말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매우 드물었으며 간혹 연구한 흔적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 현상을 드러내는데 머물고 있다 본고도 그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듯하다.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상징어(symbolic word) 사용
1. 담화 주제의 다양성
언어와생활,통신언어,통신어,통신언어의특징,방송통신대
8. 매체의 간접성
본론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3. 어휘적 characteristic(특성)
다. 4. 담화자의 익명성(anonymity, -별명(ID,nickname)
(방통대 2020-1)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資料를 직접 수집ㆍ조사 하여 分析(분석)해 보시오..
6. 정보 전달의 속도성
2. 담화 참여의 평등성
10. 언어 표현의 상징성
2. 컴퓨터 통신 언어적 장치 및 결과
7. 정보 표현의 탈규범성
5) 상징 기호(symbolic sign) 사용
9. 언어 표현의 구어성
2. 형태적 characteristic(특성)여 부른다
2) 비속어(slang) 사용
서론
1. 음운적 characteristic(특성)
3. 담화자의 개인성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가장 큰 차이가 바로 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전자말에 대한 현상을 근원적으로 짚어보고 전자말에 대한 현상과 이해를 조금 깊이 더 다가서는 데 뜻이 있다 더구나 전자말(통신언어)이 지금 급격하게 change(변화)되고 있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현상과 전망 그리고 문제를 정확하게 짚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하겠다.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순서
결론
5. 정보 전달의 편이성
11. 담화자의 비기억성
Download : [통신언어]_통신언어의_실태와_문제점.hwp( 48 )
설명
서론
1.컴퓨터 통신언어의 일반적 characteristic(특성)
- 다양한 資料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입말에서 스타트한 말살이가 글자가 만들어지면서 입말과 글말의 시대를 열었고 이제 20세기를 들어서면서 전자라는 새로운 표현 매체가 인간 세상에 나오면서부터 인간의 말글살이는 전자말(electronic language)이라는 새로운 말글살이가 스타트된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글자를 만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