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report)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01 11:44본문
Download : 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hwp
오류를 수정후 分析(분석)해 본결과 test(실험) 값인 카트의 운동에너지는 理論(이론)값인 탄성위치에너지와 오차 10%내로 일치하였다.
용수철의 수축 길이에 따른 작용하는 힘
1.5cm 당 약 3N 씩 힘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art2. 카트의 운동속도 구하기.
용수철을 4.5cm 압축시켰을 때, 392.1g인 카트의운동속도 그래프 및 테이블 (3번 실행)
용수철을 4.5cm 압축시켰을 때, 1389.5g인 카트의 운동속도 그래프 및 테이블 (3번 실행)
Part3. 운동에너지와 초기 탄성위치에너지의 비교.
[KE(3)]:용수철을 4.5cm 수축 시켰을 때의 392.1g 의 카트 운동에너지
[Error]:탄성위치에너지와(理論(이론)값)=
운동에너지(test(실험) 값)의 오차
※ 테이블의 오차는 Data Studio Calculate에 Error =sqrt((1-(0.50.3921(v)^2)/(0.5188...
Part1. 용수철 상수구하기
6. 결과 및 分析(분석)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용수철 상수k(N/m)를 의미하므로 근사적으로 188(N/m)인 k값을 얻었다.)
최소 오차의 average(평균) 백분율=2.33%
최대 오차의 average(평균) 백분율=
average(평균) 오차의 average(평균) 백분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카트의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속력이 줄어드니 운동에너지가 최대 일 때의 값을 택하는게
바람직하다.
용수철의 수축 길이에 따른 작용하는 힘
1.5cm 당 약 3N 씩 힘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art2. 카트의 운동속도 구하기.
용수철을 4.5cm 압축시켰을 때, 392.1g인 카트의운동속도 그래프 및 테이블 (3번 실행)
용수철을 4.5cm 압축시켰을 때, 1389.5g인 카트의 운동속도 그래프 및 테이블 (3번 실행)
Part3. 운동에너지와 초기 탄성위치에너지의 비교.
[KE(3)]:용수철을 4.5cm 수축 시켰을 때의 392.1g 의 카트 운동에너지
[Error]:탄성위치에너지와(理論(이론)값)=
운동에너지(test(실험) 값)의 오차
※ 테이블의 오차는 Data Studio Calculate에 Error =sqrt((1-(0.50.3921(v)^2)/(0.51880.045^2)^2)을 넣어서 계산했다. (sqrt를 쓴 이유는 절대값을 취하기 위해서다. (sqrt를 쓴 이유는 절대값을 취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여기서 더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기본적으로 질량이 더 큰 카트에 마주향하여 마찰력이 더 크게 작용함으로 오차가 질량이 작은 카트로 test(실험) 할 때 보다 커야 되지만 이번 test(실험) 에서는 오히려 질량이 더 큰 카트에 마주향하여 오차가 매우 작았다. 참고로 6.결과 및 分析(분석) 에 첨부한 속력 그래프 및 테이블은 원래 데이터의 속력을 5로 나눠 오류를 수정 후 첨부한 것이다. 그러므로 오차는 최소오차 약 2.33%로 理論(이론)과 test(실험) 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다
[KE(3)]:용수철을 4.5cm 수축 시켰을 때의 1389.5g 의 카트 운동에너지
[Error]:탄성위치에너지와(理論(이론)값)=
운동에너지(test(실험) 값)의 오차
※ 테이블의 오차는 Data Studio Calculate에 Error =sqrt((1-(0.51.3895(v)^2)/(0.51880.045^2)^2)을 넣어서 계산했다. Photogae&Picket Fence의 초기 설정에서 Band Spacing의 값을 5cm로 설정해 놓은 탓에 1cm 의 간격으로 측정(測定) 했던 카트의 운동속도는 5배가 되고 이는 5의 제곱배인 25배의 오차가 나타날 수 밖에 없던 것이었다. 용수철이 수축함에 따라 가지고 있던 탄성위치에너지는 test(실험) 결과를 보면 대부분 카트의 운동에너지로 바뀌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처음에 test(실험) 데이터 값을 가지고 理論(이론)값과 비교했을 때의 오차는 2000%이상으로 계산되었다.
Download : 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hwp( 99 )
설명
역학에너지,레포트,기타,실험결과
순서
Part1. 용수철 상수구하기
6. 결과 및 分析(분석)
그래프에서 기울기는 용수철 상수k(N/m)를 의미하므로 근사적으로 188(N/m)인 k값을 얻었다. 이로서 理論(이론)을 검증 할 수 있을 정도의 結論(결론)을 얻었다. 보고서에 첨부한 테이블에는 오차가 절대값으로 계산되었기 때문에 초기 탄성위치에너지와 변환 후 운동에너지의 대소 관계가 분명하지 않지만, 계산을 해보면 질량이 작은 카트에서는 변환된 운동에너지가 초기 탄성위치에너지 보다 크게 나온다.)
최소 오차의 average(평균) 백분율=
최대 오차의 average(평균) 백분율=
average(평균) 오차의 average(평균) 백분율=…(drop)
이 역시도 마찰력으로 속력이 줄어드니 운동에너지가 최대 일 때의 값을 택하는게
바람직하며 최소오차는 약 0.048%로 理論(이론)과 test(실험) 이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다
7. 고찰 및 토의
이번 test(실험) 은 탄성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사이의 변환과 보존을 이해하고 역학적 에너지의 총 합은 변하지 않는다는 理論(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test(실험) 이었다. 그러므로 더 큰
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report)






실험결과/기타
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 , 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기타실험결과 , 역학에너지 레포트
역학에너지 결과레포트(report)
다. 2000%라는 수치는 test(실험) 이 완전히 잘 못 되었음을 의미하여, 계속해서 원인(原因)을 分析(분석)해 본 결과 오차의 원인(原因)은 속력이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는 용수철 상수를 실제 값보다 조금 더 적게 측정(測定) 하였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