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건축工學 實驗(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 > primus3 | primus.co.kr report

건축工學 實驗(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 > primus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3

건축工學 實驗(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2 06:25

본문




Download : 건축공학 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hwp






(2) 포틀랜드 시멘트의 제조공정

① 원료공정
출하된 석회석을 1, 2차 조쇄기를 거쳐 분쇄하고 이 분쇄된 석회석과 점토, 산화철 원료 등 재료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원료 밀에서 미분쇄한 후 저장사일로로 옮기는 단계이다. 이 소성반응을 거쳐 만들어지는 클링커의 주요 화합물의 구성비에 따라 포틀랜드 시멘트의 종류를 1종~5종까지 구분한다. 이렇게 하여 콘크리트 강도가 일정하게 나온다면 순환 골재를 재활용하여 콘크리트를 만들어 순환 골재의 폐기량도 줄이고 콘크리트 강도도 일정하게 쓰이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앞으로 하게 될 test(실험) 은 부순 골재, 천연 골재와 순환 골재를 사용 했을 때에 강도가 적정한지 KS규격에 따른 test(실험) 을 하게 될 것이다.실험결과/기타

건축공학%20실험%20-%20콘크리트%20성질시험_hwp_01.gif 건축공학%20실험%20-%20콘크리트%20성질시험_hwp_02.gif 건축공학%20실험%20-%20콘크리트%20성질시험_hwp_03.gif 건축공학%20실험%20-%20콘크리트%20성질시험_hwp_04.gif 건축공학%20실험%20-%20콘크리트%20성질시험_hwp_05.gif

Download : 건축공학 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hwp( 61 )







건축공학 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 , 건축공학 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기타실험결과 , 건축공학 실험 콘크리트 성질시험

건축工學 實驗(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

설명
순서




건축工學 實驗(실험) - 콘크리트 성질시험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콘크리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입도가 일정한 골재들을 써야 콘크리트에 비중이 강도가 적당하게 나온다. 이렇게 콘크리트를 만들어 건물을 세울 경우 조립률에 따른 강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순환 골재(재생 골재)를 사용하여 5mm~12mm골재의 빈자리를 채워 콘크리트를 만들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하게 나올지에 대해 가정한다. 하지만 입도가 일정한 5mm~12mm 골재는 아스팔트나 다른 것에 많이 쓰인다.

2. 포틀랜드 시멘트

(1) 포틀랜드 시멘트의 定義(정의)

포틀랜드 시멘트는 주成分인 석회(CaO),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및 산화철(Fe2O3), 철광석 등을 함유하는 원래재료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그 일부가 용융(약 1,450℃ 까지)하여 소결된 클링커에 응결조절제로서 약간의 석고를 가하여 미분쇄하여 분말로 만든 것을 일컫는다.

② 소성공정
미분쇄한 혼합재료를 예열기를 거쳐…(skip)




건축공학,실험,콘크리트,성질시험,기타,실험결과

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成分인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및 산화철이 일정 소성온도에서 시멘트클링커의 화합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소성반응이라 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5mm~12mm 골재는 콘크리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체 19,99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