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文化(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23 15:54본문
Download : 팬덤 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pptx
국내에서는 1980년대 조용필의 오빠부대가 시초라 할 수 있으며, 1990년대 문화대통령으로 불렸던 서태지와 그의 열성팬을 지칭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됐다. 팬덤이 문화적 effect(영향) 력을 행사하면서 팬덤문화라는 말이 탄생하였다.(23세, 여, 인천)
대체로 부정적인 시선이 지배적
_SLIDE_5_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팬 문화
_SLIDE_6_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팬 문화
`질문 문항`
1. 어떤 경로로 팬 활동을 처음 하게 되었는지
2. 스타의 어떤 점이 가장 좋은지
2-1. 나 자신이 스타에게 어떤 의미 혹은 존재라고 생각하는지
2-2. 반대로 스타가 나 자신에게 어떤 의미라고 생각하는지
3. 구체적으로…(skip)
팬덤,문화,우리,어떤,시선,바라봐야,하는가,인문사회,레포트
팬덤 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 팬덤 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인문사회레포트 , 팬덤 문화 우리 어떤 시선 바라봐야 하는가
설명
다.






팬덤 文化(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팬덤 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pptx( 84 )
팬덤 文化(문화),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_SLIDE_1_
팬덤 문화, 우리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_SLIDE_2_
팬덤문화란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그런 문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다. 심하면 같이 다니기 창피할 것 같다.(23세 여, 인천)
취미생활 정도가 좋다.
_SLIDE_3_
매체를 통해서 본 팬 문화
부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기사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기사
_SLIDE_4_
팬 문화를 바라보는 시선
자기들이 좋다고 하는 걸 말릴 순 없지만 내 자식이 그러고 다니면 한 소리 할 것 같다. 한마디로 거지 같다. (23세, 남, 서울)
맹목적으로 쫓아다니는 거 보면 한심해 보인다. 대안이 없는 사회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악의 활동이다. 그래서 소비하기 편리하고 우리에게 맞추어져 있는 아이돌을 소비하는 것이다.(21세, 남, 서울)
남한테 피해주지 않는 선에서 팬 활동을 한다면 누구도 뭐라 할 자격은 없는 것 같다. 광신자를 뜻하는 퍼내틱(fanatic)의 `팬(Fan)`과 영지(領地) 또는 나라를 뜻하는 접미사 `덤(-dom)`의 합성어이다.(51세, 여, 서울)
현재 우리사회에는 아이들이 감흥을 느낄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