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16 13:51
본문
Download : 탈춤에 대해서.hwp
동시적 진행은 갈등을 첨예화.(오광대의 영감 할미과장)
3.장단 신호의 종류와 기능
춤을 추기 위해 악사에게 장단을 청하는 신호
산대놀이, 탈춤 : 불림 / 야류, 오광대에는 특별한 명칭이 없음
-종류-
`1`불림 - 잡가나 12가사류의 1-2구로 된 가사
`2`대사의 율동화 - 앞 대사를 율동적으로 반복하거나 대사 자체를 율동화. 불림과 달리 극적 의미를 지님
`3`입장단 - 해서탈춤과 산대놀이에서는 신호적인 기능만 있음
`4`직접적 언어 신호 - 연희자가 악사에게 장단을 말로 요구
`5`손짓 - 무언의 연희자. 원숭이
-기능-
1.연희자가 춤을 준비하는 기능
2.신명의 도출과 확산
3.대사와 춤의 연결 기능
4.춤의 특색과 장단
타령 / 굿거리 유형화 비유형화
설명






Download : 탈춤에 대해서.hwp( 68 )
탈춤에 대해서 , 탈춤에 대해서기타레포트 , 탈춤 대해서
탈춤에 대상으로하여
순서
탈춤에 대상으로하여
레포트/기타
탈춤,대해서,기타,레포트
다.
극중 시간도 공연 시간과 일정한 비례관계를 가지지 않는다.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6.탈춤 : 활해도 지역, 봉산탕출, 강령탈춤, 은율탈춤 / 현재 북한의 탈춤은 전승이 중단(판소리도 중단. 이유 - q소리)
7.자인팔광대놀이
탈춤의 기원
1.풍농굿기원설
농사가 잘 되라고 농민이 거행하던 농경의식이 가면극의 기원. 농경의식은 현재 서낭굿 등의 부락굿에서 잘 나타남. 농악대, 가면을 쓴 사람들, 관중이 마을의 이곳 저곳을 돌아 다니며 모...
탈춤의 종류와 분포
1.강릉관노탈놀이 : 강릉에서 성황제를 할 때 공연. 연희자가 관노. 대본이 빈약.
2.하회별신굿놀이 : 안동군 풍천면 하회동(물도리동) 별신굿을 할 때 공연. 탈의 조형성. 농촌가면극. 배경-` 하회유씨. 서양 중세의 바보제. 정치적 의미
3.야류 : 들놀음. 경상 좌도(낙동강 동편) 지신밟기 등의 농악놀이와 연관.
4.오광대 : 경상 우도(낙동강 서편). 오광대 명칭 기원 : 다섯 광대 또는 다섯과장.
5.산대놀이 : 경기도 지역. 남부에 비해 길이가 길다.
탈춤의 종류와 분포
1.강릉관노탈놀이 : 강릉에서 성황제를 할 때 공연. 연희자가 관노. 대본이 빈약.
2.하회별신굿놀이 : 안동군 풍천면 하회동(물도리동) 별신굿을 할 때 공연. 탈의 조형성. 농촌가면극. 배경-` 하회유씨. 서양 중세의 바보제. 정치적 의미
3.야류 : 들놀음. 경상 좌도(낙동강 동편) 지신밟기 등의 농악놀이와 연관.
4.오광대 : 경상 우도(낙동강 서편). 오광대 명칭 기원 : 다섯 광대 또는 다섯과장.
5.산대놀이 : 경기도 지역. 남부에 비해 길이가 길다.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6.탈춤 : 활해도 지역, 봉산탕출, 강령탈춤, 은율탈춤 / 현재 북한의 탈춤은 전승이 중단(판소리도 중단. 이유 - q소리)
7.자인팔광대놀이
탈춤의 기원
1.풍농굿기원설
농사가 잘 되라고 농민이 거행하던 농경의식이 가면극의 기원. 농경의식은 현재 서낭굿 등의 부락굿에서 잘 나타남. 농악대, 가면을 쓴 사람들, 관중이 마을의 이곳 저곳을 돌아 다니며 모의적인 싸움이나 모의적인 성행위 등을 한다. 신의 가면이 인간의 가면으로 바뀌고, 자연과의 갈등을 주술적으로 해결하자는 굿.
2.기악설
백제인 미마지가 china(중국) 오에서 배워 日本 에 전했다는 기악이 가면극의 기원.
내용은 양주별산대놀이나 봉산탈춤과 흡사. 기악은 사원극이고 불교 선전극.
3.산대희설
산대희에서 산대극이 발생하고, 산대극으 전파로 각 지방의 가면극이 형성되었다는 설.
신라에서 고려, 조선까지 국가적인 행사로 계속 공연되어 오다가, 인조 때 일시중단되고 영조 이후에는 없어짐.
4.우속제의기원설
농사를 마치고 신을 즐겁게 하려는 단순한 무당의 의식에서 점차 복잡한 가무가 발달하여 비로소 가무극이 발생. 탈춤의 첫마당에 고사장면이 있는 점, 미얄할미의 죽음 후에 넋두리 등 무당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 점이 좋은 예.
탈춤의 극적 형식
1.관객이나 악사의 개입
판소리, 무극, 서사극, 극적 환상을 배제`교육극, 인식(브레히트, 보알의 보이지…(skip) 않는 연극)
판소리`추임새, 비평 혹은 비판의 기능은 약화. 내용의 變化(변화)를 일으키지 못함. 청중.
무극`관중이 배우인 무당의 상대역.
서사극`해설자, 몰입의 차단.
2.장면의 전환과 동시적 진행
무대장치가없기 때문에 대사와 몸짓으로 장면을 전환.
무대상의 거리와 극중 거리는 상관관계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