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3 18:31
본문
Download :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hwp
이후 8․15 경축사에서 김대중 대통령은 ‘생산적 복지사회 건설’ 구상을 내놓았고, 그 뒤 후속대책으로 세제개혁위원회, 신고용창출위원회, 적극노동시장위원회, 국민최저생활추진위원회 등 4개 정책위원회 설치 방침을 밝혔으며, 이러한 흐름은 2000년 신년사를 통해 더욱 강조되었다.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
Ⅱ. 신자유주의와 생산적 복지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
2. 김대중 정권의 구조조정에 대하여
3. 생산적 복지의 위치
1. 한국 자본주의 변동에 대하여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
목차
Ⅳ. 결언
생산적 복지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arrangement)하여 삶의질향상기획단에서 1999년 11월말에 발간한 단행본 새천년을 향한 생산적 복지의 길에서 생산적 복지란 ‘모든 국민이 인간적 존엄성과 자긍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생활을 보장함과 동시에 자립적이고 주체적으로 경제․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분배의 형평성을 제고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발전을 추구하는 국정이념’이라고 definition 하고 있따 구체적 내용은 국민기본생활을 보장하는 복지, 생산과정에의 참여를 통한 복지, 취약계층의 자활을 지원하는 복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조성, 복지재definition 확충과 조세definition 의 실현, 참여와 협력의 공동체 구현 등이 제시되고 있따 정책처리해야할문제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의료保險 통합과 의약분업, 국민연금의 전국민확대, 노동정책의 근로복지중심으로의 전환의 네 가지를 내놓았다.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5784_05_.gif](/prev/200708/%5B%EC%A0%95%EC%B9%98%EA%B2%BD%EC%A0%9C%ED%95%99%5D%20%EC%8B%A0%EC%9E%90%EC%9C%A0%EC%A3%BC%EC%9D%98%EC%99%80%20%ED%95%9C%EA%B5%AD%EC%9D%98%20%EC%83%9D%EC%82%B0%EC%A0%81%20%EB%B3%B5%EC%A7%80-5784_01_.gif../prev/200708/%5B%EC%A0%95%EC%B9%98%EA%B2%BD%EC%A0%9C%ED%95%99%5D%20%EC%8B%A0%EC%9E%90%EC%9C%A0%EC%A3%BC%EC%9D%98%EC%99%80%20%ED%95%9C%EA%B5%AD%EC%9D%98%20%EC%83%9D%EC%82%B0%EC%A0%81%20%EB%B3%B5%EC%A7%80-5784_02_.gif../prev/200708/%5B%EC%A0%95%EC%B9%98%EA%B2%BD%EC%A0%9C%ED%95%99%5D%20%EC%8B%A0%EC%9E%90%EC%9C%A0%EC%A3%BC%EC%9D%98%EC%99%80%20%ED%95%9C%EA%B5%AD%EC%9D%98%20%EC%83%9D%EC%82%B0%EC%A0%81%20%EB%B3%B5%EC%A7%80-5784_03_.gif../prev/200708/%5B%EC%A0%95%EC%B9%98%EA%B2%BD%EC%A0%9C%ED%95%99%5D%20%EC%8B%A0%EC%9E%90%EC%9C%A0%EC%A3%BC%EC%9D%98%EC%99%80%20%ED%95%9C%EA%B5%AD%EC%9D%98%20%EC%83%9D%EC%82%B0%EC%A0%81%20%EB%B3%B5%EC%A7%80-5784_04_.gif../prev/200708/%5B%EC%A0%95%EC%B9%98%EA%B2%BD%EC%A0%9C%ED%95%99%5D%20%EC%8B%A0%EC%9E%90%EC%9C%A0%EC%A3%BC%EC%9D%98%EC%99%80%20%ED%95%9C%EA%B5%AD%EC%9D%98%20%EC%83%9D%EC%82%B0%EC%A0%81%20%EB%B3%B5%EC%A7%80-5784_05_.gif)
1) 유럽의 신자유주의적 전환
설명
Ⅰ. 서언
순서
Ⅲ. 생산적 복지, 그 한국적 맥락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
Ⅰ. 서언
1. 유럽의 신자유주의적 전환과 그 다양성
Download :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hwp( 15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정치경제학]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생산적 복지
다.
2. 제3의 길, 그리고 신자유주의
2) 그 흐름 속에서의 다양성
김대중 government 가 1999년 3․1절 경축사에서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정당으로 거듭날 것을 천명하고, 현충일 기념사에서 민주주의, 시장경제와 함께 ‘생산적 복지’를 3대 국정 철학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