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현미경 보고서 > primus4 | primus.co.kr report

현미경 보고서 > primu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4

현미경 보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14 11:45

본문




Download : 현미경 보고서.hwp




고배율의 대물렌즈는 크게 보이는 대신 시야가 좁으므로 처음부터 목적 이외의 부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따 따라서 고배율의 대물렌즈로 볼때에는 왼쪽 손가락은 항상 미동나사를 만지면서 재료의 상세한 부분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때 조동나사를 고정하고 미동나사를 돌려서 정확하게 초점을 맞춘다.실험결과/기타

Download : 현미경 보고서.hwp( 57 )










현미경 보고서






설명
순서
현미경 보고서



현미경 보고서_hwp_01_.gif 현미경 보고서_hwp_02_.gif 현미경 보고서_hwp_03_.gif 현미경 보고서_hwp_04_.gif 현미경 보고서_hwp_05_.gif 현미경 보고서_hwp_06_.gif
현미경,기타,실험결과

현미경 사용법
및 조작법

학과:
environment공학과
학번:
200602405
이름:
김광호
1. 목 적

현미경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물체의 미세한 형태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기구로, 현미경을 사용함에 앞서 현미경의 종류, 구조사용법 및 관리법등에 대하여 잘 이해하여야 될 것이다. 한눈을 감고 검경하는 것은 눈에 피로가 쉽게 올 뿐만 아니라 …(생략(省略)) 현미경에서 본상을 스케치 할 수 없기 때문이다
⑥ 현미경으로 검체를 볼 때에는 반드시 먼저 저배율로 초점을 대략 맞춘 다음 프레파라트를 움직여 기포나 먼지등이 붙지 않은 부분을 시야의 중앙에 오도록 한다.
② 현미경을 수평면에 똑바로 놓고 검체를 재물대 중앙에 오도록 놓고 clip으로 슬라이드글라스의 양끝을 고정시킨다.
⑧ 대물렌즈 교환기를 돌려 고배율의 대물렌즈를 광축에 맞춘다.
⑩ Immersion oil 사용법
대물렌즈의 고배율에 있어서 working distance가 짧고 개구수(numerical aperture, NA)가 크기 때문에 oil을 사용하게 된다 oil에서는 점도의 점착성과 분산도수가 약하다든가 강하다면 렌즈에 막을 형성하지 못함으로 빛의 보호와 수차가 흐트러져 어두운 현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확한 표본의 식별이 불가능해진다. 그것은 대물렌즈와 cover glass사이 및 집광기와 slide glass사이에 immersion oil을 사용하는 것이며 oil 사용후 즉각 제거하는 것이 좋다.
⑤ 검경할 때는 반드시 양눈을 뜨고 관찰 할 수 있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⑨ 대물렌즈 배율이 ×100을 사용할 때에는 유침렌즈를 사용한다.
④ 반사경을 사용하는 경우 평면경을 사용하고 반사경의 방향을 전후 좌우로 변환시키고 시야 전체가 상이 최대로 선명하게 보일 때까지 조절한다.

4. 현미경 관리법
① 현미경은 실내온도 20±2℃, 습도 40±5%를 유
현미경 보고서 , 현미경 보고서기타실험결과 , 현미경

다.
① 현미경을 상자에서 꺼내서 오른손으로 경주를 잡고 왼손으로 경각을 받치고 조용히 검경대(experiment(실험)대)로 온다.

3. 사용방법
현미경의 관찰은 environment미생물 experiment(실험)에 아주 중요한 수단이다. 현미경으로 검체를 관찰하는 것을 검경이라 하고 형태의 관찰만이 아니라 미생물의 수를 측정(測定) 또는 생태관찰에 이용된다
현미경 사용방법의 요점을 說明(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⑦ 접안렌즈를 통하여 검체를 내려다 보면서 조동나사를 몸 앞쪽으로 돌리면서 경통을 점차로 위로 올리면 검체의 상이 나타나 보이게 된다 그러나 같은 방향으로 나사를 계속 돌리면 검체의 상이 차차 흐려지는 때가 나타난다.
③ 접안렌즈를 끼고 대물렌즈가 끼워져 있는 교환기를 서서히 돌려 저배율의 대물렌즈를 광축에 맞추고 대물렌즈 끝을 내려다 보면서 조동나사를 앞쪽으로 돌려 슬라이드 글라스에 닿을 정도로 충분히 경통을 내린다.
따라서 이상적인 oil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빛의 분산도는 25℃의 온도에서 렌즈를 침수 했을 때 oil의 분산은 수직에서 45℃로 유지하고 점도는 1800 CST(central standard time)를 유지하며 형광성은 낮아야 한다.
experiment(실험)실에서 흔히 쓰이는 현미경에는 한쪽 눈으로만 볼 수 있는 단안 현미경이 널리 보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쌍안 현미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따 그 밖의 현미경의 종류로는 광학적 극성을 이용한 편광 현미경, 형광형성을 이용한 형광 현미경, 자외선을 이용하는 자외선 현미경, 피검체의 광학적 두께 차에 의한 상의 차이를 이용하는 위상차 현미경, 전자의 흐름을 이용한 전자 현미경 등이 있따
본 experiment(실험)에서는 experiment(실험)실에서 흔히 다루는 일반 광학현미경의 사용 및 관리법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전체 19,67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