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4대강살리기] 4대강 살리기 찬성, 반대意見과 앞으로의 project > primus4 | primus.co.kr report

[4대강살리기] 4대강 살리기 찬성, 반대意見과 앞으로의 project > primu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4

[4대강살리기] 4대강 살리기 찬성, 반대意見과 앞으로의 projec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21 00:04

본문




Download :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hwp





3) 사업 특성(特性)상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4대강 살리기, 수질 해결이 관건」 퍼사드 英 맨체스터대 교수, 매일신문, 2009.11.12

2) 친환경적 하천정비체계 구축해야 한다.
4대강 살리기가 2009년 11월 10일 일제히 처음 되었지만, 아직까지도 사업에 대한 찬반론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Ⅰ. 들어가며


Ⅲ. 4대강 살리기 사업은?
3) 課題별 추진계획

Download :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hwp( 49 )



5) 일자리 창출과 경제efficacy 기대된다



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찬성 견해
8) 사업에 참여하는 업체들에게는 새로운 기술개발, 경험 축적으로 도약대 역할 할 것
2) 둑을 쌓고 댐을 만든다고 물이 맑아지는 것은 아닐것이다.

8) 강마다 따로 모니터링 본부를 두고 맞춤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4대강사업으로 강바닥 준설은 어불성설」 김정욱(서울대), 연합뉴스, 2009.10.22
4) 4대강 공사진행 과정에서 우려들을 말끔히 해소시킬 수 있는 성과를 실증해야 한다. 본 레포트에서는 2009년 최대 核心 사업인 4대강 살리기의 찬성, 반대 意見을 조사하였고, 이제 사업이 처음 한 만큼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project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분석, 조사하였습니다.

7) 수공, 4대강 참여로 수도요금 올릴 수도 있따

2) 사업 범위
1) 국민의 지지가 필수인 만큼 정부와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5) 4대강 사업이 대형 건설사들의 배만 불리고 있따
「4대강 사업이 성공하기 위한 6가지 조건」 조선일보, 2009.11.09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추진경위

2) 물 수급 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수자원 추가 확보를 위한 조치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레포트에서는 2009년 최대 핵심 사업인 4대강 살리기의 찬성, 반대 의견을 조사하였고, 이제 사업이 시작한 만큼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과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분석, 조사하였습니다. [참고자료]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주요 내용과 파급효과」 권오현, 윤영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 배경 및 해외 사례 벤치마킹」 권오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4대강살리기 마스터플랜」 국토해양부 (2009) 「첫 삽 뜬 4대강 사업 성공조건」 김계현(인하대), 세계일보, 2009.11.10 「4대강 개발인가, 4대강 파괴인가」 정세용, 내일신문 2009.11.10 「4대 강 착공 … 수질오염 우려 씻고 후세를 위하여」 중앙일보, 2009.11.10 「4대강사업으로 강바닥 준설은 어불성설」 김정욱(서울대), 연합뉴스, 2009.10.22 「4대강 사업이 성공하기 위한 6가지 조건」 조선일보, 2009.11.09 「4대강, 잃어버린 강의 기능 되살려야」 박석순(이화여대), 서울신문, 2009.11.11 「4대강 살리기, 수질 해결이 관건」 퍼사드 英 맨체스터대 교수, 매일신문, 2009.11.12 「물길이 살아야 생태계가 산다」 국민일보, 2009.09.08 「4대강 사업 경제효과 극대화를 위한 과제」 한국경제, 2009.11.09 4대강 살리기 홈페이지, http://www.4rivers.go.kr/

10) 건설사들의 담합을 없애고 깨끗하고 투명한 사업으로

4대강, 4대강살리기, 4대강찬성, 4대강반대, 사대강, 4대강예산

순서
「4대강 개발인가, 4대강 파괴인가」 정세용, 내일신문 2009.11.10
「4대강살리기 마스터플랜」 국토해양부 (2009)
「물길이 살아야 생태계가 산다」 국민일보, 2009.09.08
「4대강, 잃어버린 강의 기능 되살려야」 박석순(이화여대), 서울신문, 2009.11.11
9) 수리수문학적 alteration(변화) 와 수생태계 alteration(변화) 에 대한 예측 및 대안을 마련할 연구 사업이 필요하다. .
「첫 삽 뜬 4대강 사업 성공조건」 김계현(인하대), 세계일보, 2009.11.10
< 참고자료(data) >
4) 환경단체는 보를 막으면 수질이 나빠진다고 주장하지만 해외 example(사례) 를 보면 수질이 개선, 생태계가 살아나는 등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1) 강물을 보에 가둬놓으면 생태계와 자연환경, 수질 등에 악影響을 미친다.
「4대 강 착공 … 수질오염 우려 씻고 후세를 위하여」 중앙일보, 2009.11.10


5) 국내외 전문가들의 객관적이고 건강한 지적은 경청해야 한다.
Ⅳ.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내용
5) 소요재원
6) 공사 중 수질 악화를 막아야 한다.


6) 4대강 사업으로 시·군 재정 거덜낼 셈인가?
Ⅶ. 4대강 살리기 사업의 課題
1) 수해예방을 위한 근본 대책으로 필요하다.
7) 지역 특성(特性)을 살리는 하천정비가 돼야 한다.

「4대강 사업 경제효능 극대화를 위한 project」 한국경제, 2009.11.09

Ⅱ. 4대강 살리기 추진 배경
[참고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주요 내용과 파급효능」 권오현, 윤영선,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6) 4대강 주변지역을 관광레저단지로 조성해 지역경제를 발전시킨다.

설명


7) 각종 문화공간이 개발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4) 본류관리 훌륭하지만 지천 수질관리 허술하다.
4) 강별 추진계획
[4대강살리기] 4대강 살리기 찬성, 반대意見과 앞으로의 project
4대강 살리기 홈페이지, http://www.4rivers.go.kr/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9335_01_.gif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9335_02_.gif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9335_03_.gif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9335_04_.gif 4대강 살리기 찬반론과 과제-9335_05_.gif
다.

3) 환경影響평가 조사를 졸속으로 했다.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 배경 및 해외 事例(사례) 벤치마킹」 권오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9)
4대강 살리기가 2009년 11월 10일 일제히 시작되었지만, 아직까지도 사업에 대한 찬반론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Ⅵ.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반대 견해
3) 잃어버린 강의 기능 되살려야 한다.
전체 19,67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