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교육상담 ]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instance(사례) > primus4 | primus.co.kr report

[교육상담 ]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instance(사례) > primu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4

[교육상담 ]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instance(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7 16:57

본문




Download : 상담사례 황교수.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내담자는 사람들에게 존중받고 싶다는 욕구와 가定義(정이) 화목을 소원하고 있고, 주위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나, 소외된 위치에서 스스로 좌절된 애정욕구 때문에 혼자서 갈등해 온 것으로 보인다.

나도 잘 할수 있어요!!
설명




5. 내담자의 문제이해
내담자의 어머니는 어쩌다가 이런일들이 일어났는지 모르겠다고 하였고 적극적으로 상담에 도움을 주겠다고 다짐하였다. 공부를 한다고 해도 성적이 그다지 오르지 않고,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할수 있을까 의문스러워 하였고, future 에 대해 불확실성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의문스럽다고 호소해왔다.
정서장애 상담사례





소심한 성격으로 어딘가에 자신감이 없어보이는 인상으로 검은안경을 쓰고 있었고, 표정이 무표정이었고, 상담을 하면서도 생각이 다른데로 가있는 것처럼 초점이 없었다. ‘내가 가장 무서워 하는 것은’ ‘나를 싫어 하는 사람’, ‘제일 걱정거리는 공부’라고 말함에따라 학업에 대한 좌절감과 분노, 이를 강요하는 사람들에 대한 거부감이 공존하고 있다고 이해된다 이렇게 볼때, 내담자로 부모로부터 좌절된 의존 및 애정욕구에 대한 갈등, 학업에 대한 좌절감이 오랫동안 누적되어 오면서 우울과 분노, 상실감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Download : 상담사례 황교수.hwp( 69 )



상담사례 황교수-6008_01_.gif 상담사례 황교수-6008_02_.gif 상담사례 황교수-6008_03_.gif 상담사례 황교수-6008_04_.gif 상담사례 황교수-6008_05_.gif
다.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instance(사례)
순서



내담자 : 여, 14세, 여중 1학년생


4. 내담자의 행동특성



또 회사생활에서의 언제 짤릴지 모른다는 각박함과 가족을 부양하려는 책임 때문에 열심히 생활하고 있지만 조금 불안해 보였다. 상담자의 소견으로는 내담자에 대한 개별상담과 가족 전체에 대한 가족치료도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내담자의 인적사항
아버지(42)는 2남 1녀중에 막내로 대졸 학력으로 크레인을 설계하는 설계실에 차장으로 근무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형이 의사이고, 형수는 약사이고, 누나는 대학강사로 유복한 집안에서 자랐으나 예전에 형, 누나의 사회적 지위나 직업들 때문에 상대적으로 너무 평범한 자신에 대해 열등감을 느끼고 있었음. 술은 조금 마시고 담배는 하지 않는데, 극성스러운 엄마 때문에 고부간의 갈등을 느끼고 자신의 주장에 따라와주지 않는 아내 때문에 마음이 무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2. 상담을 하게 된 계기 및 호소문제

상담결과 이성친구 문제 때문에 고민하는 것처럼 보였고, 부모에 대한 반항심으로 가득차 있어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엄마에게 혼날까봐 못하는 것이 역력히 느껴져 있었다. 또 개발상담 기법으로는 좌절된 자신의 욕구를 파악하고 스스로 어떻게 하는것이 적절한 방법인지를 알려주는 현실요법이 적절하리라 생각하고, 현실요법과 상담방법을 절충하여 사용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을 줄것이라 믿고 상담을 진행하였다.
[교육상담 ]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instance(사례)





부제 :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事例

엄마에게 반항하고 싶고 마음대로 하는 엄마가 밉고 엄마에게 학원에 간다고 거짓말을 하고, 학원에 가지 않고 친구들과 쏘다니고 싶고, 공부를 잘하고 싶은데 생각대로 성적이 오르지 않은것을 상담하고 싶어 하였다.
3. 가족사항


부모에 대한 반항아 치료 및 정서장애 상담사례

어머니(40)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회사에 간부로 있으면서, 항상 시간이 없고, 아이들을 보살피지 못해 아이들이 제 길을 나가지 못하는것이 자신의 잘못인양 죄책감을 가지고 있고, 마음을 잡지못하고 아이들이 공부를 못하는것이 자신이 직장에 나가서 그렇다 라고 우울한 기분을 느끼고 있었다.
전체 19,67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