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culture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00:12
본문
Download : 디지털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hwp
이는 전적으로 우리 교육에 책임이 많다. 이 상황에서 선생들에게 ‘왜 歷史를 가르치는가?’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한다면, 불행히도 그 대답이 상당히 회의적이다. .
디지털culture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디지털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hwp( 95 )
설명
디지털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디지털culture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
디지털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디지털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디지털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디지털culture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사실상, 우리 사회에는 디지털적 사고가 도처에 만연하고 있다 어떤 사태를 전후 좌우의 맥락 속에서 의미를 이해하고, 통합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주어진 한 사건의 차원에서 일이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우리 교육은 학생들이 교과서 중심적인 디지털 형태의 상황 속에서, 즉 전체적인 맥락에 관한 이해보다는 교과서에 써 있는 어떤 독립된 사실이나 정보 등을 누가 하나라도 더 많이 외우는가, 아니 더 장확히 말해서 누가 시험 점수를 한 점이라도 더 많이 받는가에 모든 총력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를 떠나 우리의 삶을 들여다보면, 삶 속의 의미 있는 여러 관념들 중에는 디지털적으로 딱 잘라서 흑, 백으로 선명하게 나누어 說明(설명) 하기 어려운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歷史 시간에 우리가 배운 것은 ‘프랑스 혁명은 몇 연도에 일어났는가?’, ‘삼국 유사는 어느 시대의 누가 썼는가?’ 등에 대한 답(단절적 지식)을 외우는 것이 대부분이다.
영국의 호크리지 교수는, 산업사회에서 교육의 주형태는 아날로그보다는 디지털이며, 학교에서도 이런 디지털적 방식의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예컨대, 읽기, 쓰기, 셈하기)시키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만약, 歷史 시간에 등장하는 인물이 살던 때의 풍습과 文化(문화), 지역에 관련된 사진이나 영화를 보아 가면서 학생들끼리 상황의 시대적 필연성에 관해 토론하거나 문학 시간에 셰익스피어의 작품 하나를 읽는 대신 공연 모습을 담은 비디오 등을 보고 그 시대의 언어, 풍습, 의상,
디지털文化(문화)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디지털culture와 아날로그적 사유의 관계
순서
.
다. 만약, 그 답이 ‘아동들에게 歷史적 안목 내지는 歷史관을 길러 주어 이를 토대로 각자가 일상 생활 속에서 부딪치는 문제 상황을 예리하게 分析해 보고, 여러 행동 및 사태 경과를 예측해 보고 궁극적으로 현 사태를 현명하게 대처해 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라면, 우리 교육은 거의 이를 수행하고 있지 않다. 그가 말하는 ‘디지털적’이란 분절적이고, 分析적이며, 계수적인 형태를 상징하고, 아날로그적이란 말은 그림이나 음악과 같이 통합적이고, 전체 맥락적이며, 상황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