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12 09:03본문
Download :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doc
2 기획단계
1.기획 준비 단계
고객의 과제課題分析(분석) 및 strategy수립, 우리는 자체적인 사이트를 개발하므로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것 같음.
2. 시나리오 기획 단계
- 아이디어 회의를 통하여 주어진 과제課題를 구체화하고 사전 인터페이스/호로그램 설계
3. 사이트 기획 구체화 단계
- 資料의 수집과 이의 분류/코드화, 플로우챠트/스토리보드를 작성
특히 이 단계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철저하게 정립되지 않으면 후에 사이트 제작단계에서 제작 방향성의 혼선, 사이트 제작 도중 일탈, 제작물의 Quality 저하, 사이트 제작 시한의 연기 등의 문제가 나타나곤 한다. (사이트 제작을 의뢰한 고객 측에서 구체적인 리뷰물을 확인할 수 없는 등의 이유로 충분한 사전협의없이 지나칠 수 있따 일정계획과 기획서의 제작이 끝나면 각각 시점마다 그 결과물을 고객과 충분한 검토→협의→확인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 단계에서 서로 프로젝트를 하는 팀장 및 팀원들은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필요할 것 같다. 여기에 더 살을 부치면 우리의 eplanner 의 프로젝트 통일성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한번 나중에 전체모임때 요점를 해야것 같습니다.
경쟁적인 PT를 거친 후 프로젝트를 수주했건 그렇지 않건간에 이 단계에서는 고객에게 제안요청하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고객 요구와 과제課題分析(분석) 상황을 묻는 PP(Project Profiler)를 작성하도록 한다.
( 일정계획 (PSS : Project Schedule Sheet)
일정 계획에는 크게 작업 스케줄과 인력체제의 편성, 그리고 개발비등의 비용관리 계획등을 포함시킬 수 있따 이 일정 계획 요소중 작업 스케줄의 작성과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
순서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
설명
사업계획/기타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_doc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D%9A%8D%EC%84%9C%5D%20%ED%94%84%EB%A1%9C%EC%A0%9D%ED%8A%B8%EC%88%98%ED%96%89%ED%94%84%EB%A1%9C%EC%84%B8%EC%8A%A4_doc_01_.gif)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_doc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D%9A%8D%EC%84%9C%5D%20%ED%94%84%EB%A1%9C%EC%A0%9D%ED%8A%B8%EC%88%98%ED%96%89%ED%94%84%EB%A1%9C%EC%84%B8%EC%8A%A4_doc_02_.gif)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_doc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D%9A%8D%EC%84%9C%5D%20%ED%94%84%EB%A1%9C%EC%A0%9D%ED%8A%B8%EC%88%98%ED%96%89%ED%94%84%EB%A1%9C%EC%84%B8%EC%8A%A4_doc_03_.gif)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_doc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D%9A%8D%EC%84%9C%5D%20%ED%94%84%EB%A1%9C%EC%A0%9D%ED%8A%B8%EC%88%98%ED%96%89%ED%94%84%EB%A1%9C%EC%84%B8%EC%8A%A4_doc_04_.gif)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_doc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D%9A%8D%EC%84%9C%5D%20%ED%94%84%EB%A1%9C%EC%A0%9D%ED%8A%B8%EC%88%98%ED%96%89%ED%94%84%EB%A1%9C%EC%84%B8%EC%8A%A4_doc_05_.gif)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_doc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D%9A%8D%EC%84%9C%5D%20%ED%94%84%EB%A1%9C%EC%A0%9D%ED%8A%B8%EC%88%98%ED%96%89%ED%94%84%EB%A1%9C%EC%84%B8%EC%8A%A4_doc_06_.gif)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 ,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기타사업계획 ,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
Download : [기획서] 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doc( 55 )
다.
기획서,프로젝트수행프로세스,기타,사업계획
- 표준 업무 프로세스 모델
목적
일을 스타트함에 있어 어떤 표준적인 업무 Process 모델이 있어야 할 것 같아서 제가 표준 모델을 제시합니당. 커뮤니티 뿐만이 아니고 전체 프로젝트를 함에 마치 채바퀴가 돌아가듯이 모두 연관된 일이므로 제가 이렇게 기본적인 뼈대를 만들고자합니다. 그러나 실제 프로젝트를 하려고 한 것이므로 영업단계도 어떤 플로우를 거쳐서 가는지 알아야 하기에 언급하겠음. 제작단계와 유지 및 관리 단계는 아직 언급을 하지 않겠음. 나중에 구현단계까지 간다면 그때 해도 늦지 않을 것 같음.
1 영업 단계
업무의 스타트은 대부분의 경우 고객의 제안요청에 대응하는 영업단계를 거치게 된다 고객이 특정 개발주제를 가지고 이를 요청할 경우 프로젝트팀은 해당 요청건에 대한 과제課題 分析(분석)과 영업 strategy을 수립하고 실제 제안 단계를 위한 제안 준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안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PT(Presentation)등이 이루어지며 고객에의해 수주나 제작 여부가 결정된다 (특정 프로젝트의 경우 경재업체와의 경쟁적인 PT를 수행하거나 생략(省略)될 수있다) 우리는 자체 개발이므로 여기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지만 한번쯤은 자체 적으로 PT가 필요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실제로 우리가 작업을 해야하는 부분은 기획단계이다. 資料에 대한 상호공유, 긴밀한 연락, 진행상황 등을 수시로 체크해야 함.
[기획준비단계]
앞에서 언급한것과 같이 크게 신경을 안써도 되는부분이라고 생각함.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아주 중요한 부분임.
( 과제課題分析(분석) (Analyzing Assignment)
과제課題分析(분석) 과정은 영업단계에서 고객에게 요청한 PP를 바탕으로 고객의 Needs를 정확히 파악하고 시장 내역, 제반 사항과 요구되는 비즈니스 strategy에 맞추어 주어진 과제課題를 포괄적으로 이해하여 향후 올바른 기획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표준업무의 기본 단계는 영업 단계 ] 기획 단계 ] 제작 단계 ] 유지 및 관리 단계로 나누어진다.
PP (Project Profiler)
고객에게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제반사항을 묻는 문답서로 회사 전반 사항, 프로젝트의 목…(생략(省略)) 적, 구현 시스템등을 물어 프로젝트 관련 기초 이해 도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