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민속학 공부자료 > primus6 | primus.co.kr report

민속학 공부자료 > primus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6

민속학 공부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8 05:20

본문




Download : 민속학 공부자료.hwp





민속이란 말은 ‘민간의 풍속’이란 말의 약어이며 영어의 folklore에 해당되는 말이다.
순서
민속학 공부자료 , 민속학 공부자료기타시험족보 , 민속학 공부자료

민속학 공부자료


민속학 공부자료



민속학,공부자료,기타,시험족보
민속학%20공부자료_hwp_01.gif 민속학%20공부자료_hwp_02.gif 민속학%20공부자료_hwp_03.gif 민속학%20공부자료_hwp_04.gif 민속학%20공부자료_hwp_05.gif 민속학%20공부자료_hwp_06.gif







1주차 - 1강

Ⅰ. 민속학(民俗學)의 定義(정이)

1. 민속학의 concept(개념)

민속학(Folklore)은 민간의 지식-민간전승을 통하여 민중의 생활 변천의 자취를 더듬어, 민족文化(culture) 의 본질과 그 의미를 밝히려고 하는 학문.
우리나라에서는 민속이란 용어를 folklore와 같은 concept(개념)으로 사용하기 처음 한 것은 1930년대 초 최남선, 송석하, 손진태, 임석재 등 초기민속학자들에 의해서였다. 즉, 한 특정지역의 구성원이 생활해 나가는 데 필요로 하는 지식은 그 생활양식의 기반이 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민속이라는 용어와 그 concept(개념)이 일치한다.
‘민간’은 history의 정면에 나타났던 상층의 귀족층과는 달리 하층민(Unterschicht des Gesamtvolkes)에 속하는 부류로 인정해 왔는가 하면, 근자에는 국민 전체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곧, 가옥 안에 실재한다고 믿어지는 제신들[家神], 성주 제석 삼신 조왕 업 문신 터주 등이 자리 잡아 가신신앙의 한 면을 보여준다. 한국인의 민속에는 이러한 오…(생략(省略))

Download : 민속학 공부자료.hwp( 91 )



시험족보/기타

설명

다. 이 말은 folk(민간 또는 대중)와 lore(지식ㆍ지혜)의 합성어로 ‘민간의 지식’이라는 의미이다. 영국 민속학자 톰스(thoms)가 1864년에 처음으로 이 용어를 썼다. 여기에 문갑 보료 요강 등이 알맞게 배치되어 있따 그리고 온돌방은 한국인의 인간성 형성에 많은 effect을 주었다. 이처럼 계절은 민속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따
(2) history적 조건 : 풍속이 한 시대를 일시적으로 유행했다가 소멸된 것이라면, 민속은 오랜 시간성 속에서 면면히 전승된 것으로 통시성과 history성이 있어야 한다.

민속학의 定義(정이)
(1) 자연적 조건 : 이는 계절에 따라 생활양식이 여러 가지 차이가 있따 우리나라 기후에는 토벽과 온돌식 가옥구조가 알맞다. 또한 절기에 맞는 오락[민속놀이]과 제의(祭儀)가 있고, 고사를 지내 왔다.
전체 20,06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