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집합주택 계획원론 > primus6 | primus.co.kr report

집합주택 계획원론 > primus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6

집합주택 계획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3 10:21

본문




Download : 집합주택 계획원론.hwp





④테라스형
경사지 이용에 적절한 형식으로 각 주호마다 …(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집합주택 계획원론

Download : 집합주택 계획원론.hwp( 66 )






집합주택%20계획원론_hwp_01.gif 집합주택%20계획원론_hwp_02.gif 집합주택%20계획원론_hwp_03.gif 집합주택%20계획원론_hwp_04.gif 집합주택%20계획원론_hwp_05.gif 집합주택%20계획원론_hwp_06.gif



집합주택계획원론

집합주택계획원론 , 집합주택 계획원론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②중정형
다양하고 외부 공간을 구성하기에 유리하다.
④홀형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 홀에서 직접 출입이 가능한 2개 이상의 단위 주호들이 3~4개씩 병렬된 형식이다.
⑤코어형
복고형과 홀형을 절충시킨 유형으로 고층 아파트에서 홀과 짧은 복도를 중심으로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다 탑상형에서 주로 이용되는 형식이다.
③클러스트형
배치의 획일성을 피하고 입면에서 alteration(변화) 를 줄 수 있으며 건축물의 거대한 스케일이 되는 현상을 줄인다.

2)주호 집합형식에 의한 분류
①연립형
단위 주호들이 병렬된 것으로 지상층에서 각 주호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며, 소규모 연립주택에서 많이 쓰이는 형식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로 했을 경우 1대당 이용률아 복도형에 비해 적어 경제적이다.
②편복도형
고층아파트에 흔히 이용되는 형식으로 각 주호는 2면 환기를 할 수 있으며, 균등한 주거조건을 부여받는다.
③중복도형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는 형식이지만, 환기 및 채광 등이 불리하다. 이 형식의 특징은 각 주호의 주거성, 즉 통풍, 채광, 프라이버시 등의 여건이 좋고 동선이 짧아 출입이 용이하며, 중층 아파트에서 계단실형으로 많이 쓰인다.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 매연을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시설비가 들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유형이다. 한편 지나치게 긴 복도가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되며, 획일적 배치를 조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향이나 이웃간의 프라이버시 등이 불리하다.순서


2. 주거동 계획
공동주택은 독립주택과 달리 상, 하, 좌. 우로 주호가 인접해 있는 관계로 각 주호의 연결방식이나 단면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1)주호 진입통로에 의한 분류
①저층진입형
3층 이하 저층의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형식으로 지층에서 각 주호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다. 이 형식은 지가가 높은 고밀도가 요구되는 도심지의 재개발지구 독신자 파트에 유리하다.
전체 20,06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