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기계工學(공학) experiment(실험)] 인장experimen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23 20:17
본문
Download :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hwp
4) 단면 수축률 (Reduction of area)
인장 시험 시 시험편의 파괴 직전에 최소 단면적 A 와 원단면적 A0 와의 차를 원단면적 A0 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단면 수축률이라 한다. 이렇게 응력(Stress)과 변형량(Strain) 사이의 變化(변화)를 표시하는 그림을 응력-변형 곡선 (Stress-Strain Curve)이라 한다.
1) 항복점 (Yield Point)
인장시험을 하는 도중 초기 단계에서는 시험편 평행부가 하중의 증가에 비례하여 늘어나다 어느 한도에 달하면 하중을 그 이상 증가시키지 않아도 계속 늘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장시험이 모든 기계적 시험의 기본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조작이 간단하고 정확한 결과를 얻기가 쉽기 때문이다
4) 인장에 대한 변형의 거동에서 다른 응력상태의 변형 거동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경
인장 시편의 대표적인 것은 그림과 같고, 시험기에 고정되는 시험편 근처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며 단순한 인장에 의한 변형과는 다른 현상을 나타내므로 끝부분을 굵게 하여 측정(測定) 하려는 부분에만 단순인장에 의한 변형이 생기도록 한다.
3) 연신율 (Elongation Percentage)
인장 시험 시 시험편이 파괴되기 직전에 있어 표점거리를 측정(測定) 하고, 늘어난 후의 길이를 L`(mm) 와 처음 표점거리 L(mm) 와의 차를 처음의 표점거리 L로 나눈 값 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이러한 …(투비컨티뉴드 ) 점을 항복점이라고 한다.
5) 인장 강도
시험편이 절단 되었을 때의 하중 즉, 최대 인장 하중을 시험편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눈 값, 즉 재료의 강도는 단면적에 대한 저항력으로 표시된다
6) 응력 - 변형률 선도
금속 재료의 강도를 알기 위한 인장시험에서는 시험편을 인장하는 힘의 크기와 시험편의 연신이 기록됩니다. 이것은 하중과 연신을 좌표축에 취한 것이며, 연강과 같은 경우는 오른편 그림과 같다.
2) 내력 (Yield Strength)
인장 시험 때 규정된 영구변형을 일으킬 때에만 하중을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항복값 이라 하나 연강처럼 항복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 이외의 재료에는 항복값 대신 0.2%의 영구 변형을 일으키는 응력을 내력으로 규정한다.
또한, 인장 시편이 견디는 최대하중을 인장하중이라 한다. 응력(Stress)이 커지면 변형량(Strain)도 커지며, 그 재료가 견딜 수 없는 응력에 도달하면 드디어 파단한다. 즉, 하중을 제거한 후 명백한 영구 변형이 일어난다. 측정(測定) 부분의 단면적은 일정하게 절삭하고 이 부분에서 연신을 측정(測定) 하는 기준 길이를 설정하며, 이것을 표점거리라 한다.
3) 구조물에서 단축인장에 대한 직접문제가 되는 것은 콘크리트 봉이나 와이어 등 극히 한정된 경우에 지나지 않는다.설명
[리포트][기계工學(공학) experiment(실험)] 인장experiment(실험)
레포트,기계공학실험,인장실험,기계,실험결과
실험결과/기계
[리포트][기계工學(공학) experiment(실험)] 인장experiment(실험)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_hwp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1_.gif)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_hwp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2_.gif)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_hwp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3_.gif)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_hwp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4_.gif)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_hwp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5_.gif)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_hwp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5D%20%EC%9D%B8%EC%9E%A5%EC%8B%A4%ED%97%98_hwp_06_.gif)
순서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 ,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기계실험결과 , 레포트 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
1. 시험 title
인장 시험
2. 시험 목적 및 배경
목적
인장 시험기의 원리 및 구조를 이해하고 조작법을 습득하여 주어진 재료의 인장 강도, 항복점, 내력, 연신율, 단면 수축률 등을 측정(測定) 하고 탄성한도, 탄성계수, 응력, 변형률 곡선 등을 구하는 것이 test(실험) 의 목적이다.
위 그림에 있어 곡선상의 OA 는 직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걸리는 하중과 재료의
Download : [레포트][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hwp( 41 )
다.
1) 재료의 시험 중에서 탄성적 성질, 소성변형저항, 최대파단강도 및 전단강도를 측정(測定)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시험을 인장시험(tensile test)이라고 한다.
2) 인장시험에서는 동적 및 정적인 시험이 있다 동적인 인장시험은 충격시험에서 주로 취급된다 정적인 인장시험은 구조물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에 여러 방향의 응력을 받는 경우가 많지만 변형거동이나 test(실험) 결과를 해석하기가 단순한 단축(1축)인장응력시험이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인장시험이라고 하면 보통 단축인장시험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