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무역이론(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01 09:06
본문
Download : 국제무역이론(2).hwp
-두 교역당사국의 국내교환비율 내에서 자국의 수출품에 대한 외국의 수요와 외국에서의 수입품에 대한 자국의 수요가 상호 일치하는 점에서 경정되며 이러한 상호 수요에 의해 결정된 교역조건에 의해 교역당사국의 무역이익 배분이 이루어 짐.
2. 근대적 무역理論(이론)
(1) 헥셔오린 정리(arrangement)
-국가 간 무역발생의 原因 및 무역 패턴의 결정요인을 각국의 요소부존량 비율의 차이와 생산량간의 요소투입비율(요소집약도)의 차이로서 해명하고, 무역이 생산요소의 가격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을 해명한 근대적인 무역理論(이론)을 말한다. 즉 교역조건은 한 나라의 수입수요와 상대국의 수입수요가 서로 동등하게 되는 곳에서 결정되며, 그 나라의 수입수요가 상대국의 것보다 크게 되면 될수록 불리해진다.
국제무역이론(理論)
국제무역이론(理論)
차 례
고전적 무역理論(이론)
- 중상주의
- 절대우위理論(이론)
- 비교우위理論(이론)
- 상호수요理論(이론)
근대적 무역理論(이론)
- 헥셔.오린정리(arrangement)
- 레온티에프 역설
현대적 무역理論(이론)
- 대표적 수요理論(이론)
- 연구.개발요소 理論(이론)
- 기술 격차理論(이론)
신무역理論(이론)
- 산업조직理論(이론)
- 국제무역理論(이론)
1. 고전적 무역理論(이론)
(1) 중상주의(중금주의, 화폐(=무역)차액주의
-15~18세기 상업을 중시한 경제체제로 한 나라의 부에 대한 척도는 그 나라가 얼마나 많은 화폐, 귀금속(금, 은 등)을 가지고 있는 지로 인식되었다. 그와 같은 경우 교역조건의 결정은 상호수요에 의존한다. 하여, 화폐를 국내에 많이 보유하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와의 무역에서 무조건 흑자를 남겨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은 흄이 화폐수량설(화폐량의 변화는 상품의 가격만 변화시킬 뿐이다. 이 정리(arrangement)를 요소부존理論(이론)이
국제무역이론,경영경제,레포트
_hwp_01_.gif)
_hwp_02_.gif)
_hwp_03_.gif)
_hwp_04_.gif)
_hwp_05_.gif)
_hwp_06_.gif)
레포트/경영경제
국제무역이론 , 국제무역이론경영경제레포트 , 국제무역이론
설명
Download : 국제무역이론(2).hwp( 88 )
순서
다. 그 후 A.마셜이 오퍼곡선을 이용하여 이 설을 더욱 발전시켰다. 당시에는 무역이 제로섬 게임(누가 얻으면, 누군가는 잃는)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국의 유치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무역주의를 채택하기도 하였다.)을 통해 비판하게 된다
(2) 절대우위理論(이론)
-애덤 스미스: 무역을 결정하는 것은 절대생산비라는 것. 예컨대, X 1단위를 생산하는데 A국은 10인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B국은 20인이 소요된다면 A국이 유리하므로 A국이 X를 생산하여 B국으로 수출하게 된다
-가정조건: 2국/2재/재화의 가치와 생산효율의 측정(測定) 은 노동시간 수
-발생原因: 절대생산비 차 ` 절대 우위
-각국은 절대 우위(다른 국가보다 더 낮은 실질생산비를 투입하여 생산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제품을 생산하여 이를 수출하고, 그렇지 않은 제품을 수입하면 이득을 얻게 된다는 것.
(3)비교우위理論(이론)
-데이비드 리카도: 자본과 노동의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국제간의 교환원리를 무역당사국의 생산비율의 차이에 의거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각국이 자국 내에서 생산비가 비교적 우위인 상품을 집중적으로 생산 특수화하여, 그 잉여분을 수출하고, 그 대신 외국에서 보다 싸게 생산할 수…(To be continued ) 있는 상품을 수입하면 무역당사국은 모두 이익을 얻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특징은 자국 내의 모든 생산물의 생산비가 타국에 비하여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경우라도 자국 내에서 상대적으로 보다 싼 상품의 생산에 집중하는 편이 양국의 이익이라는 것.
- 어떤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모든 생산물의 생산에 절대열위에 있다 하더라도 그 절대열위의 정도가 낮은 비교우위에 있는 산업부문에 특화 생산하여 이를 수출하고 이와 교환으로 절대열위의 정도가 큰 비교열위에 있는 생산물을 외국으로부터 수입한다면 각국은 모두 무역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
-한계: 두 재화의 교환비율이 어떻게 결정되는가에 대한 명확한 해명 불가능
(4) 상호수요理論(이론)
-존 스튜어트 밀: 외국무역은 임의의 2종류 상품이 갖는 국내에서의 교환비율(가격비의 역수)이 어떤 한 나라와 다른 나라가 상이할 때는 국제간의 교환비율이 그것들의 중간에 있는 한 이루어지지만, 각 국가에서 상품 1단위당 생산비가 생산량에 관계없이 불변이라고 하면, 교역조건이 생산비에 의해서는 정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