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3결과 - 탄산염의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26 22:44
본문
Download : exp3결과 - 탄산염의 분석.hwp
해결대책2) CO2기체의 부피를 지속적으로 관찰 후, 최대로 부피가 늘어난 지점을 조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오류 : CO2기체를 발생시킨 후 수위 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과 같도록 조절하여야 하였으나 experiment(실험) 도중 이를 잊고 시행하지 않아 큰 오차가 나오게 되었다.
Cause 3) HCl이 들어 있는 플라스크의 마개를 열고 미지의 탄산염을 넣고 마개를 씌우는 동안 공기 중으로 약간의 누출이 생겼을 것이다. 계획했던 experiment(실험) 과定義(정이) 수행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experiment(실험)과정에서 한가지 중대한 오류를 범하여 제대로 된 결과값을 얻을 수 없었다.
해결대책1) 압력 보정을 위한 수위조절을 반드시 실시해야 했다.
결과값을 처리할 때는 P에 1atm=760mmHg를 넣었으나, 이는 실제 압력에 미치지 않는다.
(2) 결과값에 대한 分析
물의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 : (760 mmHg - 15.477 mmHg)…(省略)
= 744.523 mmHg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 PV = nRT에서 n =
1회
탄산염의 분자량 :
(3) 오차의 Cause 과 해결대책
Cause 1) CO2기체를 발생시킨 후 수위 조절용기의 높이를 유리관의 수면과 같도록 조절하여야 하였으나, experiment(실험) 도중 이를 잊고 시행하지 않아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6. Data & Result
시료 A
탄산염 시료의 무게
0.100
0.100
0.100
반응이 처음 되기 전의 유리관 눈금
0
0
0
반응이 끝난 후의 유리관 눈금
17.1
17.5
17.0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부피
17.1
17.5
17.0
experiment(실험)실의 온도
18
18
18
experiment(실험)실의 압력
1
1
1
물의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
744.523
744.523
744.523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0.000701
0.000718
0.000697
탄산염의 분자량
143
139
143
mean(평균) 분자량 = 141.7
시료 B
탄산염 시료의 무게
0.100
0.100
0.100
반응이 처음 되기 전의 유리관 눈금
0
0
0
반응이 끝난 후의 유리관 눈금
10.4
10.2
11.5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부피
10.4
7.5
11.5
experiment(실험)실의 온도
18
18
18
experiment(실험)실의 압력
1
...
6. Data & Result
시료 A
탄산염 시료의 무게
0.100
0.100
0.100
반응이 처음 되기 전의 유리관 눈금
0
0
0
반응이 끝난 후의 유리관 눈금
17.1
17.5
17.0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부피
17.1
17.5
17.0
experiment(실험)실의 온도
18
18
18
experiment(실험)실의 압력
1
1
1
물의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
744.523
744.523
744.523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0.000701
0.000718
0.000697
탄산염의 분자량
143
139
143
mean(평균) 분자량 = 141.7
시료 B
탄산염 시료의 무게
0.100
0.100
0.100
반응이 처음 되기 전의 유리관 눈금
0
0
0
반응이 끝난 후의 유리관 눈금
10.4
10.2
11.5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부피
10.4
7.5
11.5
experiment(실험)실의 온도
18
18
18
experiment(실험)실의 압력
1
1
1
물의 증기압이 보정된 압력
744.523
744.523
744.523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몰수
0.000426
0.000418
0.000472
탄산염의 분자량
234
239
212
mean(평균) 분자량 = 228.3
-` experiment(실험)의 오차가 너무 커서 탄산염의 종류를 예상할 수 없었다.
-` 생성된 CO2기체의 부피를 뷰렛으로 측정(measurement)할 때, 부피가 최대로 되었다가 조금씩 손실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장치가 밀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실제 값보다 P에 작은 값을 넣었으므로 n = 에서 n이 작아지는 결과가 나올 것이다.
7. Discussion
7.1. 결과 해석
(1) experiment(실험) 과정
: 이 experiment(실험)은 미지의 탄산염에 대한 분자량을 측정(measurement)하여 그 탄산염의 종류를 예상해보는 experiment(실험)이었다.
Cause 2) 장치를 밀봉할 수 없어서 발생한 CO2기체가 조금씩 새어나와 부피 측정(measurement)에 어려움이 있었다.
해결대책3) 마개쪽에 시약을 부착 할 수 있는 우측 그림과 유사한 장치를 만들어 experiment(실험)을 하게 되면 마개를 열 필요가 없을것이라고 생각된다
exp3결과 - 탄산염의 分析(분석)
순서
exp3결과 - 탄산염의 분석 , exp3결과 - 탄산염의 분석기타실험결과 , exp 탄산염
설명
Download : exp3결과 - 탄산염의 분석.hwp( 41 )
exp,탄산염,기타,실험결과
실험결과/기타
exp3결과 - 탄산염의 分析(분석)






다.
-` 시약종이를 작게 말아서 플라스크에 넣는 방법으로 이를 극복하려고 했으나, 시약종이가 플라스크 입구에 잘 걸려서 HCl 용액쪽으로 쉽게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마개를 열고 밀어넣는 경우가 많았다.
-` P(생성된 CO2기체)가 1atm을 넘게 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위 조절을 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내부 압력을 측정(measurement)하는 다른 과정을 거친것도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