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15 07:30
본문
Download :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hwp
왼쪽부터 ph4, 7, 10 순서
(3)표준 ph를 사용하여 측정(measurement) 장비를 보정한다.(3)수돗물안동대학교 자연대학교 1호관 1층 여자화장실 찬물을 채취하였다.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 ,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기타실험결과 , 수질 시료 pH Eh EC 측정
설명
環境과학 및 실험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measurement)
담당교수님 :
조원 :
실험일 :
목차
서론
조사지역
실험방법
실험 결과 및 分析(분석)
논의 및 conclusion(결론)
1. 서론우리는 생활 속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물을 접하게 되는데, 물이 흐르는 環境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물의 成分은 어떻게 다르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하였다.- EH 는 산화환원전위를 뜻하는 것으로 ORP라고도 부른다.노란동그라미 위치의 냇물 모습. 물길을 따라 풀이 무성하게 자라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그 環境 물의 정확한 측정(measurement)값을 얻기 위해 실험 당일 실험 직전에 시료를 채취하였다.증류수의 ph는 6~7사이를 유지하면 된다 이 사이 값이 아닐 경우 증류수가 오염된 것으로, 새로운 증류수를 사용한다.)
시료를 정수기, 수돗물, 냇물 순으로 측정(measurement)
`주의사항`모든 측정(measurement) 전에 측정(measurement)…(생략(省略)) 센서부분을 증류수에 담갔다 빼 물기를 없앤 후 시료에 넣어야 전의 시료와 섞이지 않아 측정(measurement) 결과가 정확하게 나온다. 채취한 각각의 수질시료의 ph, EC, EH 측정(measurement)을 통해 물의 成分 비교를 하고 分析(분석)하여 이유를 알아본다. 이 값은 물에 녹아있는 총 염류농도를 나타내고 값이 높을수록 전기가 잘 통한다.(다른 시료들과 비교하기 위해 증류수 측정(measurement)값을 넣었다.
3. 실험방법
(1) 측정(measurement)할 시료를 준비한다.)
측정(measurement)할 시료 : 정수기, 수돗물, 냇물
(2)측정(measurement)할 장비 HI 9828, 표준 ph4, 7, 10, 증류수, 물기제거용 티슈를 준비한다.
2. 조사지역 (1)송천동 하리 냇물빨간선은 냇물을 따라 그린 것이고, 노란동그라미는 시료를 채취한 위치이다.- ph 는 수소이온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값이 작을수록 수소이온을 많이 포함하고 산성이다.
4. 실험 결과 및 分析(분석) 알아둘 것- EC 는 전기전도도를 뜻하는 것으로, 순수한 물은 전기를 옮겨줄 이온이 없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고, 정기적인 위생점검을 한다.(2)정수기물안동대학교 자연대학교 1호관 1층 정수기 찬물을 채취하였다. 값이 클수록 산화상태가 강한 것이고, 낮을수록 환원상태가 강한 것이다.) (1)정수기 (2)수돗물 (3)냇물 (4)증류수
EC (μs/cm)
EH (mv)
Ph
정수기
21
497.7
6.51
수돗물
183
571.1
6.57
냇물
201
358.2
6.74
증류수
2
290.2
6.73
표 1. 시료들의 EC, EH, ph 측정(measurement)값
그래프 1. 표1에 대한 그래프
그래프 2. 시료들의 EC값 비교
그래프1은 시료별 EC, EH, ph 값을 나타낸 그래프다.(혹시 모를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가장 깨끗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로 측정(measurement)하였다. 증류수는 ph6-7값을 유지하고, ph1차이는 수소이온농도가 10배 차이난다는 것이다. ph 차이는 눈에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測定)
수질,시료,pH,Eh,EC,측정,기타,실험결과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測定)
순서
실험결과/기타
Download : 수질 시료의 pH, Eh, EC 측정.hwp( 45 )
다. 안동 지역의 모든 건물로 들어가는 물과 같은 수돗물로, 안동시에서 관리하는 수돗물이다. EC와 EH의 값은 시료마다 큰 차이가 나는데, EC는 냇물이 가장 높고, EH는 수돗물인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5의 수소이온 농도는 ph6보다 10배 높고, ph7보다 100배 높다. 센서가 깨지거나 망가지지 않도록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다음은 시료들의 EC, EH, ph를 측정(measurement)한 값을 해석하기 쉽게 여러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장비를 표준 ph7에 넣어 ok사인이 나오면 다음으로 ph4, ph10에 순서로 넣어 ok사인을 받으면 보정이 완료된다
증류수에 담가 측정(measurement) 및 보정하는 모습
(4)정수기, 수돗물, 냇물 순서로, 각 시료에 장비센서를 넣어 값이 안정될 때 까지 기다렸다가 그 값을 기록한다. EH가 낮을수록 마시기 좋은 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