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22:53
본문
Download :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hwp
시용향악보에 보면 「유구곡」이라는 title proper(제목) 아래 ‘속칭 비두로기 평조’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이 노래 이름을 비두로기라 함은 노래말 첫 대목에서 따온 것으로 가시리, 쌍화점 등과 같은 방식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나머지 노랫말은 가사책을 보라. 다른 노래 역시 마찬가지다.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순서
<유구곡>은 1954년 연세대에서 이겸로씨가 소장하고 있던 『시용향악보』를 영인출판하면서 새로 발굴된 고려가요 권영철님은 가사의 특징상 순국문표기, ‘’란 불구속형 어미사용, 반복구와 개음절어 사용, 상류적 우아미를 표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악곡상 고려가요로 인식되고 있는 <서경별곡> <청산별곡> <야심사>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마지막 선율의 공통성․자수와 리듬의 동질성․평조라는 점 등을 들어 <유구곡>을 고려가요로 단정하였다.
Download :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hwp( 81 )
비두로기새
본 노래는 그 노랫말의 미진함과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의 수록 방침 가사는 다만 제 1장만 기록한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을 고려 해 볼 때 아마 노래 전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시용향악보 권두, 납씨가>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우르믈 우루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
2. 작품알기
버곡이 난 됴해
維鳩曲 俗稱 비두로기 ○ 平調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1) 비두로기 새
*어구해석





.
.
버곡이 난 됴해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유구곡 - 원문 어구해석 예종 작자설 민요설 형식 및 내용
*원문
- 비둘기는: 박병채 등이 주장한 것으로 title proper(제목)의‘구(鳩)’에서 알 수 있듯이 ‘비두로기’는 비둘기다. 한 연밖에는 남아있지 않지만, 『시용향악보』외의 reference(자료)에서는 발견되지 않아서 일부만 남아있는 것인지, 아니면 원래 한 연으로만 이루어진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유구곡>에 있어서 가장 큰 논란거리라고 할 수 있는 작자문제는 이것이 예종작인가 아닌가 하는 것인데, 본문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다.
비두로기새
설명
다.